https://www.acmicpc.net/problem/1783

 

1783번: 병든 나이트

첫째 줄에 체스판의 세로 길이 N와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N과 M은 2,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풀이

문제가 이해하기 어려웠어서 지문을 조금 풀어 써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 방식을 모두 한 번씩 사용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체스판이 주어졌다면, 최소한 모든 방법을 1번 씩은 사용해야 한다. 만약 모든 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면, 4번 이상 움직일 수 있더라도 3번 이하로 움직인다.

방법 하나를 사용할 때마다 한 번 움직인 것이며, 시작 지점도 방문한 것으로 간주한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최대 방문 횟수를 구하여라."

 

이동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는 어떻게 나눌 수 있을까?

 

1. 모두 사용할 수는 없는 경우

1) 세로 길이 == 1

이동 방식을 살펴보면 가장 왼쪽 아래에서 시작해서 오른쪽으로만 이동하며, 위나 아래로 함께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세로 길이가 1이면 가로가 아무리 길어도 움직일 수 없다.

=> 최대 방문 횟수 = 0

 

2) 세로 길이 == 2

 

위 아래로 두 칸씩 올라가는 방법이 있기 때문에,세로 길이가 2이면 위나 아래로 두 칸 이동하는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다. => 최대 방문 횟수 = min(4, (세로 길이 + 1) / 2)

 

3) 세로 >= 3 && 가로 < 7

M &lt; 7

세로가 3이상이더라도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모든 방법을 한 번씩 사용하면 항상 가로 방향으로 6번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로 길이가 7 미만이면 세로가 아무리 길어도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세로가 3이상일 때 가장 많이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은 오른쪽으로 한 칸씩만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 최대 방문 횟수 = min(4, 가로 길이)

 

2.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 세로 >= 3 && 가로 >= 7

N &gt;= 3 &amp;&amp; M &gt;= 7

이제 적절히 순서를 조합해서 모든 방법을 다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방법을 한 번씩 다 사용하고 나면, 오른쪽으로 가장 많이 방문할 수 있도록 움직여서 최대 방문 횟수를 구할 수 있다.

=> 최대 방문 횟수 = 5 + (가로 길이 - 7) 

 

 

일반 구현 문제였지만 지문이 이해하기 어렵고 분기문이 많아서 쉽지 않았던 것 같네요!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input = readLine().split(" ")
    val rowLength = input[0].toInt()
    val colLength = input[1].toInt()

    when{
        // 모든 조건을 한번씩 사용할 수 없을 땐
        // 3번 이하로만 움직여서 방문 횟수를 4번 이하로 만든다.
        rowLength == 1 -> print(1)

        rowLength == 2 -> {
            val visitCount = (colLength + 1) / 2
            print( if(4 < visitCount) 4 else visitCount )
        }

        // 모든 조건을 한번 씩 써서 움직이면 가로로 6칸 이동하기 때문에
        // 가로 길이는 7이 기준이 된다.
        colLength < 7 -> print( if(4 < colLength) 4 else colLength)

        // 모든 조건을 한번씩 사용해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 (한번씩 사용해서 방문한 횟수: 5) + (남아있는 가로 칸에서 가장 많이 움직일 수 있는 횟수)
        else -> print(5 + colLength - 7)
    }
}

 

참고

https://lipcoder.tistory.com/94

https://www.acmicpc.net/problem/1517

 

1517번: 버블 소트

첫째 줄에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N개의 정수로 A[1], A[2], …, A[N]이 주어진다. 각각의 A[i]는 0 ≤ |A[i]| ≤ 1,000,000,000의 범위에 들어있다.

www.acmicpc.net

 

풀이

크게 2가지의 풀이 법이 있다. 그 중 좀 더 쉬운 방법이 분할 정복법인데, 그것도 아이디어를 떠올리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다른 분들의 풀이와 코드를 많이 참고했다.

 

먼저, 수가 최대 50만개라서 버블 소트를 쓰면 시간 초과가 난다.

 

각 숫자가 몇 번 swap 되는지를 그림으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각 숫자의 교점의 합이 총 swap의 합이 된다. 그리고 각 숫자의 교점의 개수는 자신보다 오른쪽에 있는 숫자들 중 더 작은 수의 개수가 된다. 예를 들어, 위의 6은 1, 3, 5 => 3번 swap 한다.

 

그러면 어떻게 O(n^2)보다 빠르게 각 숫자들의 오른쪽을 탐색할 수 있을까? Merge Sort를 하면 merge sort의 시간 복잡도인 O(n * log^n) 안에 가능하다.

 

merge sort

 

위의 그림은 merge sort를 하는 과정에서 가장 작은 0을 정렬한 다음 상황이다.

 

이제 왼쪽에서 가장 작은 2와 오른쪽에서 가장 작은 1 중 더 작은 값을 정렬해야 한다. 오른쪽 값이 더 작기 때문에 1을 정렬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1이 2,4,6,8과 교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은 2, 4, 6, 8과 swap이 되고, swap += (왼쪽 배열 개수 - 왼쪽 인덱스)와 같은 방식으로 swap 횟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오른쪽 최소 값이 왼쪽 최소값보다 작을 때마다 적용된다.

 

참고로 swap 횟수는 최악의 경우 대략 50만 + ... + 1 => 50만 * 50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Long형을 사용해야 한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var count = 0L
lateinit var tempArray: IntArray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val numbers = IntArray(n) { i ->
        st.nextToken().toInt()
    }

    tempArray = IntArray(n)
    mergeSort(numbers, 0, n-1)

    print(count)
}

fun mergeSort(numbers: IntArray, start: Int, end: Int) {
    if (start == end) {
        return
    }

    val mid = (start + end) / 2
    mergeSort(numbers, start, mid)
    mergeSort(numbers, mid + 1, end)
    merge(numbers, start, end) // 정렬된 양쪽 배열을 합치면서 다시 정렬한다
}

fun merge(numbers: IntArray, start: Int, end: Int) {
    val mid = (start + end) / 2
    var left = start
    var right = mid + 1
    var tempIndex = start

    while(left <= mid && right <= end) {
        // 꼭 등호는 왼쪽이 더 작거나 같은 조건으로 붙여야 한다.
        // 그렇지 않으면 왼쪽과 오른쪽 값이 같을 때 1을 더 계산하게 된다.
        if (numbers[left] <= numbers[right]){
            // 왼쪽 값이 더 작거나 같다 -> 오른쪽 배열에 자신보다 큰 값이 없다
            tempArray[tempIndex++] = numbers[left++]
        }else{
            tempArray[tempIndex++] = numbers[right++]
            count += mid - left + 1
        }
    }

    // 왼쪽이나 오른쪽 중 남아있는 배열의 숫자 정렬
    while (left <= mid) {
        tempArray[tempIndex++] = numbers[left++]
    }
    while (right <= end) {
        tempArray[tempIndex++] = numbers[right++]
    }

    // 임시 배열에 정렬한 값을 원래 배열에 반영
    for (i in start..end) {
        numbers[i] = tempArray[i]
    }
}

https://www.acmicpc.net/problem/2447

 

2447번: 별 찍기 - 10

재귀적인 패턴으로 별을 찍어 보자. N이 3의 거듭제곱(3, 9, 27, ...)이라고 할 때, 크기 N의 패턴은 N×N 정사각형 모양이다. 크기 3의 패턴은 가운데에 공백이 있고, 가운데를 제외한 모든 칸에 별이

www.acmicpc.net

 

풀이1

(3^k)꼴의 N과 3x3 패턴의 출력 형식이 주어졌을 때, 그 패턴에 맞춰 NxN 크기로 별을 출력하는 문제였다.

 

NxN은 (N/3) x (N/3) 크기의 영역 9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나누어진 영역은 다시 9개의 더 작은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문제에서 주어진 것처럼, 재귀적인 분할 정복 방식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9x9 = (3x3) 9개

위 그림은 N = 9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만약 N = 27이라면 이 그림이 9개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즉, NxN을 그리기 위해선 (N/3) x (N/3) 9개를 그려야 하고, N/3을 다시 나누다 보면 결국 3x3 영역부터 그리기 시작해서 전체를 그리게 된다.

 

참고로 영역은 배열을 사용하여,

가장 왼쪽 상단의 시작점(row, col)과 영역의 크기(size)를 통해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배열, 시작점, 크기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이제 NxN 패턴의 별을 그리는 재귀 함수를 선언하고, 그 안에서 크기가 3이 될 때까지 (N/3) x (N/3) 영역 9개 그리도록 재귀적으로 호출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위의 과정에서 영역을 인자로 받아서 3x3패턴의 별을 배열에 저장해주는 함수공백을 저장하는 함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시작점: (row, col), 크기: size인 별을 그리는 함수

 

풀이2

풀이1은 영역을 중심으로 분할해서 가장 작은 단위부터 해결하는 방식이었다. 다른 방법은 없을까 궁금해서 다른 분들의 풀이를 살펴보다가, 같은 분할 정복이지만 약간 다른 관점의 방법이 있어서 소개하려고 한다.

 

이 방법도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가 중요하긴 하지만, 영역 자체가 아닌 각 점이 어느 영역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해당 위치에 '*' 이나 ' '를 저장한다.  

3x3의 빈칸

우선, 기본 단위인 3x3에서 빈칸은 각 정사각형의 1행 1열에 해당한다. 좌표는 (1,1), (1, 4), (1, 7), (1, 10), (1, 13)이며,

판별식은 (i % 3 == 1) && (j % 3 == 1)이다.

 

9x9에서도 1행 1열이 공백에 해당한다

9x9 패턴에서도 공백은 3x3 단위로 봤을 때 1행 1열 영역에 해당한다.

 

즉, N x N 패턴에서 1행 1열에 있는 (3/N) x (3/N) 영역 전부가 공백에 해당한다.

그리고 모든 크기로 확장한 판별식은 {(i / size) % 3} == 1 && {(j / size) % 3} == 1이 된다.

i / size 은 그 점이 3*size x 3*size 단위로 봤을 때, 몇 번째 행의 size x size 영역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N = 27, size = 9, i = 11, j = 0이라면,

27x27의 일부분

 

i / (size/3) = 3이므로 위에서 네 번째 3x3 영역에 속하며,

3 % 3 = 0이므로 9x9 영역에서 0행 0열에 있는 3x3에 속한다. 즉 1행 1열이 아니기 때문에 공백이 아닌걸 알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재귀적 코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코드1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l stars = Array(n) { CharArray(n) }

    setStars(stars, 0, 0, n) // NxN 패턴 별을 그린다

    val answer = StringBuilder()
    stars.forEach { charArray ->
        charArray.forEach {
            answer.append(it)
        }

        answer.appendLine()
    }

    print(answer)
}

// 왼쪽 위의 점인 stars[row][col]에서부터 size * size만큼 별 저장 
fun setStars(stars: Array<CharArray>, row: Int, col: Int, size: Int) {

    // 크기가 3일 때까지 나누어 들어가다가, 3이 되면 해당 영역에 3x3 패턴을 저장하고 종료한다.
    if (size == 3) {
        set3Pattern(stars, row, col, size)
        return
    }

    val dividedSize = size / 3

    // 0행
    setStars(stars, row, col, dividedSize)
    setStars(stars, row,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setStars(stars, row, col + 2*dividedSize, dividedSize)
    
    // 1행
    setStars(stars, row + dividedSize, col, dividedSize)
    setSpace(stars, row + dividedSize,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 공백
    setStars(stars, row + dividedSize, col + 2*dividedSize, dividedSize)

    // 2행
    setStars(stars, row + 2*dividedSize, col, dividedSize)
    setStars(stars, row + 2*dividedSize,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setStars(stars, row + 2*dividedSize, col + 2*dividedSize, dividedSize)
}

// 3 * 3 패턴 별 저장
fun set3Pattern(stars: Array<CharArray>, startRow: Int, startCol: Int, size: Int) {
    for (row in startRow until startRow + size){
        for (col in startCol until startCol + size){
            stars[row][col] = '*'
        }
    }

    stars[startRow + 1][startCol + 1] = ' '
}

// 공백 저장
fun setSpace(stars: Array<CharArray>, startRow: Int, startCol: Int, size: Int) {
    for (row in startRow until startRow + size){
        for (col in startCol until startCol + size){
            stars[row][col] = ' '
        }
    }
}

 

코드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l answer = StringBuilder()

    for (i in 0 until n) {
        for (j in 0 until n) {
            answer.append(getStar(i, j, n / 3)) // 위치에 해당하는 '*' or ' ' 반환
        }
        answer.appendLine()
    }

    print(answer)
}

fun getStar(row: Int, col: Int, size: Int): Char {

    // 해당 위치가 (3*size) * (3*size)의 정사각형 영역 안에서,
    // 가운데 영역인 (size * size) 정사각형 안에 포함될 경우
    if ((row / size) % 3 == 1 && (col / size) % 3 == 1){
        return ' '
    }

    return if (size == 1) '*'
    else getStar(row, col, size / 3)
}

https://www.acmicpc.net/problem/1780

 

1780번: 종이의 개수

N×N크기의 행렬로 표현되는 종이가 있다. 종이의 각 칸에는 -1, 0, 1 중 하나가 저장되어 있다. 우리는 이 행렬을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자르려고 한다. 만약 종이가 모두 같은 수

www.acmicpc.net

 

풀이

NxN 행렬에서 숫자가 모두 같으면 해당 숫자를 카운트, 그렇지 않으면 크기를 9등분해서 각 행렬에 대해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문제였다. 분할 정복 or 재귀를 사용한다는 건 금방 알 수 있었지만 행렬을 나누는 게 어렵게 느껴졌다. 

 

행렬은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나누는 방법이 달라진다.

행렬은 어떻게 표현하는 게 좋을까? 나같은 경우 한 점과 길이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쉽다고 느꼈다.

행렬 표현

 

모두 정사각 행렬이기 때문에, 이렇게 시작 점과 길이를 알면 행렬을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점과 길이를 안다면 (점 + 길이)로 다른 행렬의 시작점을 계산하여 쉽게 분할할 수 있다.

행렬 분할

 

그러면 이제 큐or 스택과 같은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반복문이나, 재귀 함수를 작성해서 답을 구할 수 있다.

 

행렬이 모두 같은 원소를 갖으면 해당 숫자를 카운트하고 분할을 종료한다. 만약 길이가 1일 경우, 원소가 하나라서 항상 같은 원소를 갖고 있므로 분할은 자동 종료된다.

 

리뷰

처음엔 왼쪽 끝의 좌표와 오른쪽 끝의 좌표를 사용해서 행렬을 구분하려고 했는데, 좌표를 구하는 연산 과정이 복잡해져서 멘붕이 왔었다..ㅋㅋㅋ

 

두 점으로 행렬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그림처럼 서로 다른 18개의 점을 구해야 한다. 그리고 다음 행렬의 좌표는 이전의 행이나 열에 +1을 해줘야 한다. 이처럼 그림 없이는 헷갈릴 수가 있는데, 머리로만 하려고 했던 게 가장 큰 문제였다.

 

적극적으로 문제를 풀어주자!!

 

나중에 멘탈을 다잡고 그림을 보며 위의 방식으로 해봤는데 결과는 시간초과 였다ㅋㅋ;;

 

 

코드1 (재귀 사용)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l matrix = Array(n) {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IntArray(n) { st.nextToken().toInt() }
    }

    val countArray = IntArray(3) // -1, 0, 1을 인덱스 0,1,2로 카운트
    countPapers(matrix, 0, 0, n, countArray)
    val answer = StringBuilder().append(countArray[0]).appendLine()
        .append(countArray[1]).appendLine()
        .append(countArray[2])
    print(answer)
}

// 인자: (행렬, 시작 행, 시작 열, 길이, 카운트 배열)
fun countPapers(matrix: Array<IntArray>, row: Int, col: Int, size: Int, countArray: IntArray) {
    val result = hasSame(matrix, row, col, size) // 같은 숫자만 갖고 있으면 해당 숫자를, 아니면 2를 반환

    // 같은 숫자만 갖고 있으면, 카운트 하고 분할 종료
    if (result != 2) {
        countArray[result + 1]++
        return
    }

    val dividedSize = size / 3
    // 0행 분할
    countPapers(matrix, row, col, dividedSize, countArray) // 0행 0열 (왼쪽 위 행렬)
    countPapers(matrix, row,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countArray) // 0행 1열 (중앙 위)
    countPapers(matrix, row, col + 2 * dividedSize, dividedSize, countArray) // 0행 2열 (오른쪽 위)

    // 1행
    countPapers(matrix, row + dividedSize, col, dividedSize, countArray)
    countPapers(matrix, row + dividedSize,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countArray)
    countPapers(matrix, row + dividedSize, col + 2 * dividedSize, dividedSize, countArray)

    // 2행
    countPapers(matrix, row + 2 * dividedSize, col, dividedSize, countArray)
    countPapers(matrix,row + 2 * dividedSize,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countArray)
    countPapers(matrix, row + 2 * dividedSize, col + 2 * dividedSize, dividedSize, countArray)
}

fun hasSame(matrix: Array<IntArray>, startRow: Int, startCol: Int, size: Int): Int {
    val prevPaper = matrix[startRow][startCol]

    for (row in startRow until startRow + size) {
        for (col in startCol until startCol + size) {
            if (prevPaper != matrix[row][col]) {
                return 2 // 다른 숫자를 갖고 있으면 2를 반환한다
            }
        }
    }

    return prevPaper // 같은 숫자만 갖고 있으면, 해당 숫자 반환
}

 

코드2 (Queue 사용)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data class MatrixInfo(val row: Int, val col: Int, val size: Int)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l matrix = Array(n) {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IntArray(n) { st.nextToken().toInt() }
    }

    print(countPapers(matrix))
}

fun countPapers(matrix: Array<IntArray>): StringBuilder {
    val queue: Queue<MatrixInfo> = LinkedList()
    queue.offer(MatrixInfo(0, 0, matrix.size))

    val count = IntArray(3)

    while (queue.isNotEmpty()) {
        val matrixInfo = queue.poll()
        val result = hasSame(matrix, matrixInfo) // -1,0,1 -> 같은 숫자로 채워진 종이 , 2 -> 다른 숫자 포함

        if (result != 2) {
            count[result + 1]++
            continue
        }

        val row = matrixInfo.row
        val col = matrixInfo.col
        val dividedSize = matrixInfo.size / 3

        queue.offer(MatrixInfo(row, col, dividedSize)) // 0행 0열
        queue.offer(MatrixInfo(row,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 0행 1열
        queue.offer(MatrixInfo(row, col + 2 * dividedSize, dividedSize)) // 0행 2열

        // 1행
        queue.offer(MatrixInfo(row + dividedSize, col, dividedSize))
        queue.offer(MatrixInfo(row + dividedSize,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queue.offer(MatrixInfo(row + dividedSize, col + 2 * dividedSize, dividedSize))

        // 2행
        queue.offer(MatrixInfo(row + 2 * dividedSize, col, dividedSize))
        queue.offer(MatrixInfo(row + 2 * dividedSize, col + dividedSize, dividedSize))
        queue.offer(MatrixInfo(row + 2 * dividedSize, col + 2 * dividedSize, dividedSize))
    }

    return StringBuilder().append(count[0]).appendLine()
        .append(count[1]).appendLine()
        .append(count[2])
}

fun hasSame(matrix: Array<IntArray>, matrixInfo: MatrixInfo): Int {
    val prevPaper = matrix[matrixInfo.row][matrixInfo.col]

    for (row in matrixInfo.row until matrixInfo.row + matrixInfo.size) {
        for (col in matrixInfo.col until matrixInfo.col + matrixInfo.size) {
            if (prevPaper != matrix[row][col]) {
                return 2
            }
        }
    }

    return prevPaper
}

 

틀렸던 코드 (끝 점 2개로 행렬 구분) - 메모리 초과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 왼쪽 위, 오른쪽 아래의 점으로 행렬을 구분한다
data class Points(val r1: Int, val c1: Int, val r2: Int, val c2: Int)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val n = readLine().toInt()
    val matrix = Array(n){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IntArray(n) { st.nextToken().toInt() }
    }

    print(countPapers(matrix))
}

fun countPapers(matrix: Array<IntArray>): StringBuilder{
    val queue: Queue<Points> = LinkedList()
    queue.offer(Points(0,0, matrix.size-1, matrix.size-1))

    val count = IntArray(3)

    while (queue.isNotEmpty()) {
        val points = queue.poll()
        val result = hasSame(matrix, points)

        if (result != 2){
            count[result + 1]++
            continue
        }

        val r1 = points.r1; val c1 = points.c1
        val r2 = points.r2; val c2 = points.c2
        val gapR1 = r1 + (r2 - r1) / 3; val gapR2 = gapR1 + (r2 - r1) / 3 + 1 // 1/3, 2/3 지점
        val gapC1 = c1 + (c2 - c1) / 3; val gapC2 = gapC1 + (c2 - c1) / 3 + 1

        queue.offer(Points(r1, c1, gapR1, gapC1)) // 0행 0열
        queue.offer(Points(r1, gapC1 + 1, gapR1, gapC2)) // 0행 1열
        queue.offer(Points(r1, gapC2 + 1, gapR1, c2)) // 0행 2열

        queue.offer(Points(gapR1 + 1, c1, gapR2, gapC1))
        queue.offer(Points(gapR1 + 1, gapC1 + 1, gapR2, gapC2))
        queue.offer(Points(gapR1 + 1, gapC2 + 1, gapR2, c2))

        queue.offer(Points(gapR2 + 1, c1, r2, gapC1))
        queue.offer(Points(gapR2 + 1, gapC1 + 1, r2, gapC2))
        queue.offer(Points(gapR2 + 1, gapC2 + 1, r2, c2))
    }

    return StringBuilder().append(count[0]).appendLine()
            .append(count[1]).appendLine()
            .append(count[2])
}

fun hasSame(matrix: Array<IntArray>, points: Points): Int {
    val paper = matrix[points.r1][points.c1]

    for (row in points.r1..points.r2) {
        for (col in points.c1..points.c2){
            if (paper != matrix[row][col]) return 2
        }
    }

    return paper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