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261

 

1261번: 알고스팟

첫째 줄에 미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 크기 M, 세로 크기 N (1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미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0과 1이 주어진다. 0은 빈 방을 의미하고, 1은 벽을 의미

www.acmicpc.net

안녕하세요, 이륙사입니다.

 

풀이1

이번 문제는 BFS를 활용하는 그래프 탐색 문제였습니다.

 

기본적인 BFS와는 문제와는 다른 점이 있는데요. 특정 위치에 최단거리로 가는 것이 아닌, 최소로 벽을 부수면서 간다는 것입니다. BFS의 특징은 가까운 순서대로 한번만 방문하면서 모든 위치를 방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BFS를 그냥 사용하면, 이동 방향의 우선순위에 따라 벽을 더 많이 부수는 경로가 특정 위치에 먼저 도착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도착할 때마다 그때까지 부셨던 벽의 개수를 기록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경로에서 방문을 시도할 때, 갱신을 시도하는 값이 작을 때만 재방문을 허용합니다. 그러면 언젠가는 모두 최소 값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미로 크기가 100 * 100이라서 몇 번의 재탐색이 일어나라도 충분히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경로를 지나면서 벽을 몇 개 부셨는지 기록,
// 큰 값으로 초기화해서 처음 방문할 때는 항상 방문하면서 갱신하게 한다
val brokenCountAt = Array(maze.size) {
        IntArray(maze[0].size) { 10_000 }
    }
    
    ....

// 벽을 부셔야하는 상황에서 기존에 기록된 경로 값이 지금의 경로 값이 값보다 크다면 재탐색한다
            if (maze[nextRow][nextCol] == '1'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1)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1
                q.add(Pair(nextRow, nextCol))
            }
            // 벽을 부시지 않아도 되지만, 기존 경로 값이 지금 경로 값보다 크면 재탐색
            else if (maze[nextRow][nextCol] == '0'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q.add(Pair(nextRow, nextCol))
            }

 

참고로 DFS를 사용하면 한 방향으로 먼저 끝까지 탐색하고 돌아오는데, 다 탐색하고 왔더니 최소 경로가 아니라서 모두 재탐색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BFS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풀이2

생각해보니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랑 아주 비슷한 것 같습니다. 사실 다익스트라랑 똑같습니다!ㅋㅋ 0과 1의 가중치를 갖고 있는 그래프 탐색 문제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풀이1에서 문제가 됐던 건 무작정 탐색하면 최소로 벽을 부수는(최소 누적 가중치) 경로가 나오지 않는다는 거였습니다.이제 그 이유를 알 수 있는데요, 이동할 때 가중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문제에서 찾고자 하는 건 최소 가중치를 갖는 경로입니다. 따라서, 움직일 때마다 가중치가 작은 방향을 우선으로 탐색하면 특정 위치를 최소 누적 가중치를 갖고 최초로 방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해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양방향 큐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양방향 큐를 사용하는 경우 0을 탐색할 때는 큐의 앞쪽에, 1을 탐색할 때는 큐의 뒤쪽에 넣으면서 진행합니다. 그러면 항상 누적 가중치가 작은 경로를 전부 탐색한 후에, 그 다음 누적 가중치가 큰 경로들을 탐색하기 때문에 모든 위치를 최소 경로로 한번만 지날 수 있습니다. 

val brokenCountAt = Array<IntArray>(rowSize) { // 벽을 부순 횟수를 기록 + 방문 여부 표시 역할
        IntArray(colSize) { -1 }
    }
    
    ....

if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1) continue // 한번 방문한 곳은 재방문X

if (maze[nextRow][nextCol] == 0)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deque.addFirst(Pair(nextRow, nextCol))
} else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1
    deque.addLast(Pair(nextRow, nextCol))
}

 

여기서도, 가중치에 따라 이동 방향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DFS 기반으로 탐색을 하기엔 어렵습니다.  

 

생각 과정

  1. 특정 위치로 가는 그래프 탐색 문젠데, 최단거리가 아니라 최소 가중치 문제이다
  2. 노드를 한번씩만 방문하면 이동방향에 따라 최소 가중치 경로를 찾지 못할 수도 있다
  3. 최소 가중치 경로를 찾을수 있도록 조건에 따라 재탐색을 허용한다.
  4. 아니면 처음부터 최소 가중치로 탐색하면서 한번씩만 방문할 순 없을까 고민해본다.
  5. 다익스트라를 알고 있다면 다익스트라나 우선순위 큐를 떠올릴 수 있다.

 

코드1 (BFS사용, 조건에 따라 재탐색 허용)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val colSize = st.nextToken().toInt()
    val rowSize = st.nextToken().toInt()
    val maze = Array(rowSize) {
        readLine().toCharArray()
    }

    print(getMinCount(maze))
}

fun getMinCount(maze: Array<CharArray>): Int {
    val dRow = intArrayOf(-1, 1, 0, 0)
    val dCol = intArrayOf(-0, 0, -1, 1)
    
    // 경로를 지나면서 벽을 몇 개 부셨는지 기록,
    // 큰 값으로 초기화해서 처음 방문할 때는 항상 방문하면서 갱신하게 한다
    val brokenCountAt = Array(maze.size) {
        IntArray(maze[0].size) { 10_000 }
    }
    val q: Queue<Pair<Int, Int>> = LinkedList()
    q.add(Pair(0, 0))
    brokenCountAt[0][0] = 0

    while (q.isNotEmpty()) {
        val (row, col) = q.poll()

        for (i in 0 until 4) {
            val nextRow = row + dRow[i]
            val nextCol = col + dCol[i]

            if (nextRow !in maze.indices || nextCol !in maze[0].indices) continue

            // 벽을 부셔야하는 상황에서 기존에 기록된 경로 값이 지금의 경로 값이 값보다 크다면 재탐색한다
            if (maze[nextRow][nextCol] == '1'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1)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1
                q.add(Pair(nextRow, nextCol))
            }
            // 벽을 부시지 않아도 되지만, 기존 경로 값이 지금 경로 값보다 크면 재탐색
            else if (maze[nextRow][nextCol] == '0'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q.add(Pair(nextRow, nextCol))
            }
        }
    }

    return brokenCountAt[maze.lastIndex][maze[0].lastIndex]
}

 

코드2 (낮은 가중치 우선 탐색)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 anima94님 풀이 참고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colSize, rowSize) = readLine().split(" ").map(String::toInt)
    val maze = Array<IntArray>(rowSize) {
        val string = readLine()
        IntArray(colSize) { i ->
            string[i] - '0'
        }
    }
    
    // 벽을 부순 횟수를 기록 + 방문 여부 표시 역할
    val brokenCountAt = Array<IntArray>(rowSize) {
        IntArray(colSize) { -1 }
    }
    val deque = ArrayDeque<Pair<Int, Int>>()
    val dRow = intArrayOf(-1, 1, 0, 0)
    val dCol = intArrayOf(0, 0, -1, 1)

    brokenCountAt[0][0] = 0
    deque.add(Pair(0, 0))

    while (true) {
        val (row, col) = deque.pollFirst()

        if (row == rowSize - 1 && col == colSize - 1) {
            print(brokenCountAt[row][col])
            return
        }

        for (i in 0 until 4) {
            val nextRow = row + dRow[i]
            val nextCol = col + dCol[i]

            if (nextRow !in 0 until rowSize || nextCol !in 0 until colSize) continue
            if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1) continue // 한번 방문한 곳은 재방문X

            if (maze[nextRow][nextCol] == 0)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deque.addFirst(Pair(nextRow, nextCol))
            } else {
                brokenCountAt[nextRow][nextCol] = brokenCountAt[row][col] + 1
                deque.addLast(Pair(nextRow, nextCol))
            }
        }
    }
}

https://www.acmicpc.net/problem/2661

 

2661번: 좋은수열

첫 번째 줄에 1, 2, 3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길이가 N인 좋은 수열들 중에서 가장 작은 수를 나타내는 수열만 출력한다. 수열을 이루는 1, 2, 3들 사이에는 빈칸을 두지 않는다.

www.acmicpc.net

안녕하세요, 이륙사입니다.

 

풀이

이번 문제는 백트래킹을 활용한 완전 탐색(brute force) 문제였습니다.

 

우선, 좋은 수열이란 무엇이고 나쁜 수열과 어떻게 구분지을 수 있을까요?

좋은 수열이란, 가장 끝자리부터 1자리, 2자리, 계속해서 인접 숫자들을 확인했을 때 같은 숫자가 없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한 자리씩 추가해가면서 전체 수열을 만든다는 아이디어와 각 자리수를 만들 때마다 좋은/나쁜 수열을 판별해야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어떤 수가 좋은 수열이라면, 그것의 부분 수열들도 모두 좋은 수열이어야 합니다. 

 

이 아이디어가 중요한 이유는 n자리를 만들고나서 좋은 수열인지 판별을 하면 3^80가지를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뒤에 자리수를 추가할 때마다 좋은 수열인지 확인한다면, 미리 불필요한 탐색의 가지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빠른 시간 안에 탐색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처럼 불필요한 탐색을 사전에 줄이는 것이 백트래킹으로 전부 확인하는 방법의 핵심입니다.

백트래킹

 

생각 과정

  1. 좋은 수열과 나쁜 수열이란 무엇이고 그 둘을 어떻게 구별할지 생각한다.
  2. 그 과정에서 뒤에 한자리씩 추가하면서 전체 가지수를 확인하고, 숫자를 추가할 때마다 수열을 판별한다는 생각을 떠올린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kotlin.system.exitProcess

var n = 0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n = readLine().toInt()
    findMinGood("")
}

fun findMinGood(number: String) {
    if (number.length == n){
        print(number)
        exitProcess(0)
    }

    for (i in 1..3){
        if (isGood(number + i)){
            findMinGood(number + i)
        }
    }
}

fun isGood(number: String): Boolean {
    val length = number.length
    for (i in 1..length / 2) {
        val left = number.substring(length - 2 * i , length - i)
        val right = number.substring(length - i ,length)
        if (left == right) return false
    }

    return true
}

/* 아래와 같이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fun isGood(number: String): Boolean {
    val length = number.length


    for (i in 1..length / 2) { // 비교 길이
        var isGood = false

        for (j in 0 until i) { // 자리수
            // 다른 숫자가 있다면
            if (number[(length - 1) - j] != number[(length - 1) - j - i]) {
                isGood = true
            }
        }

        if (isGood.not()) return false
    }

    return true
}

*/

 

'Problem Solving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32번: 피자 판매 (Kotlin)  (0) 2022.01.21
백준 1261번: 알고스팟 (Kotlin)  (0) 2022.01.20
백준 3108번: 로고 (Kotlin)  (0) 2022.01.18
백준 1525번: 퍼즐 (Kotlin)  (0) 2022.01.17
백준 2186번: 문자판 (Kotlin)  (0) 2022.01.16

https://www.acmicpc.net/problem/3108

 

3108번: 로고

로고는 주로 교육용에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로고의 가장 큰 특징은 거북이 로봇인데, 사용자는 이 거북이 로봇을 움직이는 명령을 입력해 화면에 도형을 그릴 수 있다. 거북이는 위치와

www.acmicpc.net

안녕하세요, 이륙사입니다.

 

풀이

이번 문제는 Union-Find 혹은 BFS, DFS를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그중에서 이번엔 BFS를 사용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예시들을 통해 PU의 개수는 직사각형의 수와 관련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한점 이상에서 만나는 직사각형들이 있다면 그 직사각형들은 연필을 떼지 않고 한번에 그릴 수 있습니다. 즉, 몇 번의 한붓 그리기로 모든 직사각형들을 그릴 수 있는지 묻고 있으며, 직사각형 집합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로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직사각형만 그릴 수 있기 때문에, 2, 3번 명령어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집합의 수를 구하기 위해 Union-Find를 떠올릴 수 있으며, 겹치는 직사각형의 점들은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곳을 모두 탐색하는 BFS, DFS로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탐색 함수를 호출한 횟수가 집합의 개수가 됩니다. 

for (y in 0 until MAX_PLUS_ONE) {
        for (x in 0 until MAX_PLUS_ONE) {
            if (graph[y][x] == 1 && visited[y][x].not()) { // 직사각형이 있고, 아직 그룹지어지지 않았다면
                answer += 1
                bfs(x, y)
            }
        }
    }

 

 

좌표 변환

단순 그래프 탐색 문제가 되었으므로, 열심히 구현해서 정답을 제출합니다. 그리고 틀립니다. 왜냐면 아래와 같이 겹치지 않는데도 인접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 좌표 값을 2배 늘려주면, 거리가 1이던 점들의 거리도 2가 돼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좌표값은 양수이어야 하므로 먼저 +500 증가시킨 후에 좌표 값을 2배 늘려줍니다.

repeat(n) {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drawRect(2 * (st.nextToken().toInt() + 500), // 좌표를 오른쪽으로 이동 후 2배 증가
            2 * (st.nextToken().toInt() + 500),
            2 * (st.nextToken().toInt() + 500),
            2 * (st.nextToken().toInt() + 500)
        )
    }

 

디버깅을 통해서나 아니면 처음부터 이런 상황을 떠올릴 수 있으면 정말 좋겠지만, 문제 경험이 풍부하지 않고선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ㅋㅋ

 

 

예외 처리

정말 마지막으로, 처음에 (0, 0)에서 연필을 내린 상태로 시작한다는 점도 주의해주셔야 합니다. (0, 0)과 이어진 사각형들은 처음에 연필을 올리지 않고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처음에 (1000,1000)에 연필을 내린 상태에서 시작
if (graph[1000][1000] == 1) print(answer - 1)
else print(answer)

 

생각 과정

  1. 예시를 통해 사각형 집합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라는 것을 확인한다.
  2. 그래프 안에서 집합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을 떠올린다 -> Union-Find, DFS, BFS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const val MAX_PLUS_ONE = 2001

val graph = Array(MAX_PLUS_ONE){
    IntArray(MAX_PLUS_ONE)
}
val visited = Array(MAX_PLUS_ONE) {
    BooleanArray(MAX_PLUS_ONE)
}
val dX = arrayOf(-1, 1, 0, 0)
val dY = arrayOf(0, 0, -1, 1)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r puCount = 0

    repeat(n) {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 좌표를 오른쪽으로 이동 후 2배 증가
        val x1 = 2 * (st.nextToken().toInt() + 500); val y1 = 2  * (st.nextToken().toInt() + 500)
        val x2 = 2 * (st.nextToken().toInt() + 500); val y2 = 2 * (st.nextToken().toInt() + 500)

        drawRectangle(x1, y1, x2, y2)
    }

    for (y in 0 until MAX_PLUS_ONE){
        for (x in 0 until MAX_PLUS_ONE) {
            // 직사각형이 있고, 아직 그룹지어지지 않았다면
            if (graph[y][x] == 1 && visited[y][x].not()) {
                bfs(x, y)
                puCount++
            }
        }
    }

    // 연필은 (1000,1000)에 내린 상태에서 시작한다
    if (graph[1000][1000] == 1) print(puCount - 1)
    else print(puCount)
}

// 직사각형 그리기
fun drawRectangle(x1: Int, y1: Int, x2: Int, y2: Int) {
    for (i in y1..y2) {
        graph[i][x1] = 1
        graph[i][x2] = 1
    }

    for (i in x1 + 1 until x2) { // 변끼리 겹치는 점 제외
        graph[y1][i] = 1
        graph[y2][i] = 1
    }
}

fun bfs(startX: Int, startY: Int) {
    val q: Queue<Pair<Int, Int>> = LinkedList()
    q.add(Pair(startX, startY))
    visited[startY][startX] = true

    while (q.isNotEmpty()) {
        val (x, y) = q.poll()

        for (i in 0 until 4) {
            val nextX = x + dX[i]
            val nextY = y + dY[i]

            if (nextX !in 0 until MAX_SIZE || nextY !in 0 until MAX_SIZE) continue

            if (graph[nextY][nextX] == 1 && visited[nextY][nextX].not()) {
                visited[nextY][nextX] = true
                q.add(Pair(nextX, nextY))
            }
        }
    }
}

https://www.acmicpc.net/problem/2186

 

2186번: 문자판

첫째 줄에 N(1 ≤ N ≤ 100), M(1 ≤ M ≤ 100), K(1 ≤ K ≤ 5)가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알파벳 대문자가 주어지는데, 이는 N×M 크기의 문자판을 나타낸다. 다음 줄에는 1자 이상 80자 이하의

www.acmicpc.net

안녕하세요, 이륙사입니다.

 

풀이

위 문제는 DFS를 사용하는 그래프 탐색 문제였습니다. 하지만 골드3에 정답률이 20퍼센트대인 것을 보아, 기본적인 DFS 문제와는 조금 다르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데요.

 

움직일 수 있는 경우의 수

먼저, 특정 위치에서 상하좌우로 한 칸씩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k칸씩 이동이 가능합니다. 즉, 아래 그림의 X표시된 곳으로 한번에 점프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 <= 5이므로, 매 위치마다 4 * 5 = 최대 20가지의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중복 방문

또 특이한 점은 갔던 곳을 다시 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중복해서 방문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조건만 봐선 DFS가 아니라 매 위치마다 방문 가능한 모든 곳을 탐색하는 brute force 문제로 보는게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그럼 전부 확인하면서 풀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시간 복잡도를 계산해보겠습니다.

  • 최대 노드 개수 = N * M = 10,000개,
  • 매 위치마다 방문을 고려할 가지수 = 20개
  • 단어 길이 <= 80

최대 80번을 움직이는데 한 번 움직일 때마다 20곳을 고려해야 하므로, 10,000 * 20 ^ 80 = 100자리가 넘는 수가 나옵니다. 따라서, 전부 확인하는 방식으로는 시간안에 해결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까요?

 

📌3차원 그래프

2차원 그래프가 주어졌지만, 사실은 3차원 그래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같은 위치를 방문하더라도 영단어의 몇 번째 인덱스에 쓰였느냐에 따라 다른 노드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 단어: "ABAB", K = 2

뒤에 같은 모양이 단어 개수만큼 겹쳐있는 3차원 그래프였다!

 

ABAB를 찾고 있고, (0, 1)에서 탐색을 시작하는 상황을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B인 (0, 0), (0, 2), (1, 1)로 갈 수 있는데, (0, 0)으로 가보겠습니다. K=2이므로, (0, 1), (1, 0), (2, 0)으로 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의 중복 상황인 (0, 1)로 다시 가보겠습니다. (0, 1) -> (0, 0) -> (0, 1)이 됐습니다. 여기서 3개의 B로 갈 수 있으므로 3개의 ABAB 경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즉, (0, 1)을 ABAB의 3번째 순서(인덱스 2)로 방문하면 언제나 3개의 경로를 찾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것을 기록해놓으면 (1, 2) -> (0, 2) -> (0, 1)의 경로로 탐색을 할 경우 3개의 B에 다시 방문하지 않더라도 3개의 경로가 있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 메모이제이션

경로를 못찾았던 위치도 마찬가지로 0을 기록해서 해당 위치를 특정 순서로 방문하면 더이상 탐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같은 (0, 1)의 A를 방문하더라도 이것을 ABAB[0]으로 사용했는지 ABAB[2]로 사용했는지에 따라 다른 노드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같은 방안에 있더라도 그 날짜가 오늘이었는지 어제였는지에 따라 다른 상태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할 것 같네요. 

 

따라서 이 문제는 [행][열][인덱스]로 구성된 3차원 그래프 DFS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혹은 DFS + 메모이제이션 문제였습니다. 

 

 

탐색 함수 안에서 메모이제이션(중복 방문 처리) 적용

※ BFS를 사용하면 큐에 너무 많은 데이터가 들어가서 메모리 초과가 난다고 하네요!

※ 각 위치를 노드로 표현해보면 Node(문자, 행, 열, 인덱스)로 할 수 있습니다.

 

생각 과정

  1. 영단어 경로를 찾기 조건을 만족하는 노드들을 방문하는 그래프 탐색문제라는 것을 확인한다.
  2. 특정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경우의 수와 중복 방문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완전 탐색으로 풀었을 때의 시간 복잡도를 계산해본다.
  3. 시간 복잡도가 정말 크다.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추가 고려 사항을 생각해본다.
  4. 특정 노드를 방문하더라도 단어의 몇 번째 문자를 확인하느냐에 따라 node state가 다르다는 것을 이해한다.
  5. 따라서 index까지 고려하는 3차원 그래프 탐색문제이다. 중복 방문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var answer = 0
var rowSize = 0
var colSize = 0
lateinit var target: CharArray // 찾으려는 영단어 문자 배열
lateinit var board: Array<CharArray> // 2차원 그래프
val dNext = mutableListOf<Pair<Int, Int>>()
lateinit var visited: Array<Array<IntArray>> // 3차원 그래프 -> [row][col][몇번째에 도착했는지]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rowSize = st.nextToken().toInt()
    colSize = st.nextToken().toInt()
    val moveLimit = st.nextToken().toInt()
    board = Array<CharArray>(rowSize) {
        readLine().toCharArray()
    }
    target = readLine().toCharArray()
    
    // -1: 첫 방문, 0: 방문했었지만 경로가 없었다, 1 이상: 발견한 경로 수
    visited = Array(rowSize) {
        Array(colSize) {
            IntArray(target.size) { -1 } 
        }
    }

    // 상하좌우 K칸 이동 경우의 수
    for (i in 1..moveLimit) {
        val up = Pair(-i, 0); val down = Pair(i, 0)
        val left = Pair(0, -i); val right = Pair(0, i)
        dNext.addAll(listOf(up, down, left, right))
    }

    // 모든점을 시작점으로 탐색
    for (i in 0 until rowSize) {
        for (j in 0 until colSize) {
            if (board[i][j] == target[0]) {
                answer += findRouteCount(i, j, 0)
            }
        }
    }

    print(answer)
}

fun findRouteCount(row: Int, col: Int, index: Int): Int {
    if (index == target.size - 1) { // 단어를 찾았다
        return 1
    }

    var count = 0 // 지금 위치에서 찾을 수 있는 경로 수를 저장할 변수

    for (i in dNext.indices) {
        val nextRow = row + dNext[i].first
        val nextCol = col + dNext[i].second

        if (nextRow !in 0 until rowSize || nextCol !in 0 until colSize) continue
        if (board[nextRow][nextCol] != target[index + 1]) continue // 그래프 범위 밖
 
        // 이전에 방문한 곳일 경우
        if (visited[nextRow][nextCol][index + 1] != -1) {
            count += visited[nextRow][nextCol][index + 1]
            continue
        }

        count += findRouteCount(nextRow, nextCol, index + 1)
    }

    // 경로를 찾지 못했으면 0, 찾았으면 0보다 큰 수가 저장된다
    visited[row][col][index] = count
    return count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