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912

 

1912번: 연속합

첫째 줄에 정수 n(1 ≤ n ≤ 100,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진다. 수는 -1,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www.acmicpc.net

 

풀이

어떤 방법을 써야 할까?

1 <= n <= 100,000이므로 모든 경우를 탐색해보면 시간초과가 나고, 정렬을 해서 푸는 문제도 아닌 듯 하다. 따라서, 이분 탐색을 사용하는 문제는 아니고, 그리디한 방법도 떠오르진 않는다.

접근 방법에 대해 생각해봤는데, 사실 이 문제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한 문제 중 하나이다.

 

나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문제를 다음과 같은 절차로 풀려고 한다.

 

1. 반복문에서 사용할 점화식을 찾기 위해 함수를 정의한다. 

-> dp[i]: 배열이 i번째 까지만 있을 때, 시작 위치가 어디든 number[i]로 끝나는 최대 연속합 (number[?] ~ number[i])

ex) 2, 1, -4, 3, 4, -4, 6, 5, -5, 1 -> dp[2] = -1, dp[3] = 3

2. 문제에 따라서 아무것도 없는 상태(ex: 0) or 첫 인덱스의 값을 초기 값으로 설정한다.

-> dp[0] = number[0]

3. (2.)를 고려해서, 모든 경우의 수를 커버할 수 있는 점화식을 찾는다. 

-> dp[i] = {

                if (dp[i-1] < 0) number[i] 

                else) dp[i-1] + number[i]

              }

             < == > max( dp[i - 1] + number[i] , number[i] ) 

(수학적 귀납법과 같다!)

 

음수가 키포인트이지만, number[i]가 아니라 dp[i-1]이 음수인지의 여부가 중요하다. number[i]가 음수일지라도 dp[i-1]이 양수이면 dp[i] = dp[i-1] + number[i]이어야 한다. 그래야 1, -4, 3, 4, -4, 6, 5, -5, 1에서 3, 4, -4, 6, 5를 찾아낼 수 있다. 반면에 number[i]가 무슨 값이든 dp[i-1]이 음수이면, dp[i] = number[i]이다. 위 예시의 dp[3]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함수의 정의에 의해, dp 값들 중 최대 값이 답이 된다.

 

 

함수랑 점화식을 어떻게 잘 정의할 수 있을까?

경험의 영역인 것 같다. 나는 처음에 정말 모르겠어서 머리 깨져가면서 여러 문제 풀고,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 코드도 보니까 조금 익숙해졌다. dp는 몰아서 푸는 게 도움되는 것 같다.

 

 

코드

import kotlin.math.max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number = readLine()!!.trim().split(" ").map { it.toInt() }
    val dp = IntArray(n) { i -> number[i] }

    var answer = number[0]
    for (i in 1 until n) {
        if (dp[i - 1] < 0) dp[i] = number[i]
        else dp[i] = dp[i - 1] + number[i]
        // dp[i] = max(number[i], dp[i - 1] + number[i])와 같음
        
        answer = max(answer, dp[i])

        /* 틀렸던 코드
        if (0 <= number[i]){
            dp[i] = max(dp[i], dp[i-1] + number[i])
            answer = max(answer, dp[i])
        }
        */
    }

    println(answer)
}

https://www.acmicpc.net/problem/2156

 

2156번: 포도주 시식

효주는 포도주 시식회에 갔다. 그 곳에 갔더니, 테이블 위에 다양한 포도주가 들어있는 포도주 잔이 일렬로 놓여 있었다. 효주는 포도주 시식을 하려고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규

www.acmicpc.net

 

풀이

1 <= n <= 10,000이라서 모두 탐색하면 시간 초과가 난다. 풀어보면 어떻게 과거의 모든 경우의 수를 예측해서 문제를 해결하지 싶은데, 이런 경우에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사용할 때가 많았다.

 

나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문제를 다음과 같은 절차로 해결한다.

 

1. 반복문에서 사용할 점화식을 구성하기 위해 함수를 정의한다.

-> dp[i]: 포도주가 i번째 까지 있을 때, 조건을 만족하는 최대 포도주 양

2. 함수의 초기 값을 설정한다.

-> dp[0] = 0, dp[1] = wine[1], dp[2] = wine[1] + wine[2] (포도주 인덱스는 1부터 시작하도록 세팅)

3. 초기 값을 기반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커버할 수 있는 점화식을 구한다.

-> dp[i] =

{

 if (i번째 와인을 마시지 않는다) dp[i-1] 

 if (i번째, i-1번째 와인을 마시고, i-2는 마시지 않는다) wine[i] + wine[i-1] + dp[i-3] 

 if (i번째, i-2번째 와인을 마시고, i-1은 마시지 않는다) wine[i] + dp[i-2]

}

 

이렇게 반드시 조건을 만족시키게 점화식을 구성하고, 초기 값부터 점화식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면 모든 항이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점화식을 구성하면서 i-3까지 인덱스를 봐야 하길래, 3번째 포도주부터 반복문을 돌리기 위해 포도주 인덱스를 1부터 시작했다. 

 

그리고 i를 3 ~ n까지 반복문을 돌려서 dp 값을 구하면, dp[n]이 답이 된다.

 

코드

import kotlin.math.max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wines = IntArray(n+2)
    val dp = IntArray(n+2)
    
    // 포도주 인덱스 1부터 시작
    repeat(n){ i ->
        wines[i+1] = readLine()!!.toInt()
    }

    // 초기값 설정
    dp[1] = wines[1]
    dp[2] = wines[1] + wines[2]
    for (i in 3..n){
        // 점화식
        val maxWithCurrentWine 
            = max(dp[i-3] + wines[i-1] + wines[i], dp[i-2] + wines[i]) // i번째 와인을 마시는 경우 중 최대 값 
        dp[i] 
            = max(dp[i-1], maxWithCurrentWine) // i번째 와인을 마시는 or 안마시는 경우 중 최대 값
    }

    println(dp[n])
}

https://www.acmicpc.net/problem/1744

 

1744번: 수 묶기

길이가 N인 수열이 주어졌을 때, 그 수열의 합을 구하려고 한다. 하지만, 그냥 그 수열의 합을 모두 더해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수열의 두 수를 묶으려고 한다. 어떤 수를 묶으려고 할 때, 위치에

www.acmicpc.net

 

풀이

수열의 합의 최대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숫자 2개를 위치에 관계 없이 묶거나 묶지 않고 더할 수 있으며, 묶을 경우엔 두 수를 곱해서 더해야 한다.

 

그냥 더하는 것보다 두 수를 곱할수록 합은 더 커진다. 그럼 어떻게 곱해야 더 크게 만들 수 있을까? 숫자 하나만 더한다고 생각했을 때, 가장 큰 수를 만드는 방법은 가장 큰 두 수를 곱하는 것이다. 즉, greedy하게 내림차순으로 큰 두 수씩 묶으면 값을 가장 크게 만들 수 있다.

 

음수인 경우엔 어떨까?

음수를 곱하면 양수가 되므로 마찬가지로 곱하는 게 항상 이득이다. 따라서, greedy하게 오름차순으로 절대값이 큰 두 수씩 묶으면 값을 가장 크게 만들 수 있다. 

 

근데, 묶다가 마지막에 하나가 남는 경우가 생긴다. 양,음수 모두 홀수개일 때는 하나가 남는다.

음수의 경우 만약 0이 있다면 0과 곱하고, 0이 없다면 어쩔 수 없이 가장 작은 하나를 남겨둔다. 0을 곱하거나 양수와 곱하면 더 커질테니까.

양수는 남으면 그냥 더하는 수밖에 없다. 음수나 0이랑 곱하면 더 작이지기 때문이다.

 

즉, 0은 남는 음수에 곱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음수와 곱하면 음수를 더 크게 만들 수 있지만 음수는 음수끼리 곱하는 것이 더 이득이기 때문이다.

 

Greedy)

이 문제는 위와 같이 greedy 방식으로 풀면 해결할 수 있다. 근데 위 방법대로 하면 정답을 받지 못한다ㅋㅋ! 0과 음수는 예외처리 했지만 1은 고려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1은 어떤 수를 곱해도 자기 자신이 된다. 하지만 더한다면? (자기자신+1)이 된다. 1은 0과 곱하면 0으로 더 작아지고, 음수와 곱해도 작아진다. 따라서 1은 항상 묶지 않고 따로 더해줘야 한다. 1은 모두 따로 빼서 더하고 나머지 양수에 위의 방법을 적용하면 정답을 받을 수 있다.

 

위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열을 입력 받는다 - 양수,음수를 따로 저장해준다. 0이 있는지 체크하고, 1은 모두 빼서 정답에 미리 더해준다.

2. 양,음 수열을 각각 정렬한다.

3-1 양의 수열) 

  • 개수가 0이면 0을, 1개면 그 원소를 정답에 더한다.
  • 짝수개라면 크기순으로 2개씩 묶어서 곱한 것을 합해서 정답에 더한다.
  • 홀수개이면 가장 작은 수와 나머지 짝수개를 묶은 것을 합해서 정답에 더해준다.    

3-2 음의 수열) 양의 수열과 절대값에 대해 같은 방식으로 처리해준다

4) 음의 수열이 홀수개 && 0이 수열에 있다면, 더해줬던 가장 큰 음수를 정답에서 빼준다.  

 

코드

fun main(){
    var answer = 0

    val n = readLine()!!.toInt()
    val negatives = mutableListOf<Int>()
    val positives = mutableListOf<Int>()
    var hasZero = false
    repeat(n){ i ->
        val number = readLine()!!.toInt()
        when{
            number == 0 -> hasZero = true // 여러 개여도 상관없다
            number == 1 -> answer++	  // 바로 더해준다
            number > 1 -> positives.add(number)
            else -> negatives.add(number)
        }
    }

    val numOfNegative = negatives.size
    val numOfPositive = positives.size
    positives.sort()
    negatives.sortDescending()	// 같은 함수로 처리하기 위해 내림차순 정렬
    
    // 3)
    answer += handleSequence(positives, numOfPositive) + handleSequence(negatives, numOfNegative)
    
    // 4)
    if (numOfNegative % 2 != 0 && hasZero){	
        answer -= negatives[0]
    }

    println(answer)
}

fun handleSequence(sequence: MutableList<Int>, numOfSequence: Int): Int{
    return when{
        numOfSequence == 0 -> 0
        numOfSequence == 1 -> sequence[0]
        
        // 2개씩 묶어서 곱한 것을 모두 더한다.
        numOfSequence % 2 == 0 -> sequence.chunked(2).map{ it[0]*it[1] }.reduce{ sum, num -> sum + num }
        
        else -> sequence[0] +
                sequence.subList(1, numOfSequence)
                    .chunked(2)
                    .map{it[0]*it[1]}
                    .reduce{sum, num -> sum + num}
    }
}

 

리뷰

  • 처음에 그리디 문제인지 몰랐다. 그리디 문제는 딱 보고 눈치챌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앞으로 열심히 풀어야겠다..ㅋㅋ
  • 1도 예외처리를 해줘야 했다니. 숫자는 어렵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