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륙사입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풍선 맞추기 문제의 풀이 과정을 복기하며 기록했습니다. 백준에서 그리디 알고리즘이라고 나와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어떻게 단일 반복문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에 대한 구현 문제에 가깝다고 느꼈습니다.
풀이 과정
먼저, 최소한의 화살을 사용하기 위해선 하나의 화살로 최대한 많은 풍선을 터뜨려야 합니다.
화살은 풍선을 하나 맞힐 때마다 높이가 1씩 감소하므로, 내림차순으로 높이가 1 차이나는 풍선들은 높이가 가장 큰 풍선에 화살을 한번 쏘는 것으로 그 풍선들을 모두 맞힐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의 경우, 3개의 화살(화살1(5, 4, 3), 화살2(5, 4, 3), 화살3(2, 1))로 풍선들을 전부 맞힐 수 있습니다.
접근
저는 먼저 이중 반복문으로 완전 탐색하는 방법을 떠올렸습니다. 앞에 있는 풍선에 화살을 쏘고, 뒤에 그 화살로 제거할 수 있는 풍선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럴려면 이중 반복문을 사용해야 하는데, 풍선이 최대 100만개라서 이 방법으론 시간 내에 해결이 불가능했습니다.
단일 반복문으로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이중 반복문을 사용해도 날아가는 화살의 높이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반복문으로 풍선들을 확인할 때 이때까지 쏜 화살 중 현재 확인하는 풍선의 높이로 날아오고 있는 화살이 있으면 쏘지 않고(저장x), 없으면 새로 쏘면 되겠다. 즉,해싱(or 인덱스: 풍선 높이, 원소: 화살 개수)을 사용하면 단일 반복문으로 해결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val arrows = IntArray(MAX_HEIGHT + 1) // 날아가고 있는 화살을 높이에 따라 저장
balloons.forEach { height ->
if (arrows[height] == 0) { // height 높이에 날아오는 화살이 없으면
count += 1 // 쏜다
arrows[height - 1] += 1 // 풍선에 맞고 화살 높이 감소
} else if (arrows[height] > 0) { // 날아오는 화살이 있으면
arrows[height] -= 1 // 풍선에 맞는다
arrows[height - 1] += 1
}
}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const val MAX_HEIGHT = 1_000_000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val balloons = IntArray(n) {
st.nextToken().toInt()
}
var count = 0
val arrows = IntArray(MAX_HEIGHT + 1) // 날아가고 있는 화살을 높이에 따라 저장
balloons.forEach { height ->
if (arrows[height] == 0) { // height 높이에 날아오는 화살이 없으면
count += 1 // 쏜다
} else if (arrows[height] > 0) { // 날아오는 화살이 있으면
arrows[height] -= 1 // 풍선에 맞는다
}
arrows[height - 1] += 1 // 풍선에 맞고 화살 높이 감소
}
print(count)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lateinit var numbers: IntArray
val leftSumCount: MutableMap<Int, Int> = HashMap()
var goal = 0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mGoal) = readLine().split(" ").map(String::toInt)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numbers = IntArray(n) { st.nextToken().toInt() }
goal = mGoal
recordLeftSum(0, 0)
val answer = countAnswer(n / 2, 0)
if (goal == 0) print(answer - 1) // 각 구간에서 아무것도 뽑지 않아서 0이 된 경우를 뺀다
else print(answer)
}
// 왼쪽 절반 구간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부분수열의 합을 key, 개수를 value로 Map에 저장한다
fun recordLeftSum(idx: Int, sum: Int) {
if (idx >= numbers.size / 2) {
leftSumCount[sum] = leftSumCount.getOrDefault(sum, 0) + 1
return
}
recordLeftSum(idx + 1, sum)
recordLeftSum(idx + 1, sum + numbers[idx])
}
// 오른쪽 구간 부분수열의 합(rightSum)을 모두 구해서,
// 자신과 합했을 때 목표 숫자를 만드는 leftSum의 개수를 Map에서 찾아서 반환한다
fun countAnswer(idx: Int, sum: Int): Long {
if (idx >= numbers.size) {
return leftSumCount.getOrDefault(goal - sum, 0).toLong()
}
return countAnswer(idx + 1, sum) + countAnswer(idx + 1, sum + numbers[idx])
}
이번 문제는 특정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완전 탐색(brute force)을 하는 문제였습니다.
저는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석했습니다.
"배열A와 배열B의 숫자들을 더해서 특정 숫자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알고싶다. 단, 각 배열에서 숫자를 뽑을 땐 인덱스를 기준으로 연속해야 하며, 한쪽 배열의 숫자들만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배열은 원형으로 되어있다."
즉, 각 원형 배열에서 길이 0 ~ (m or n) 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연속 합을 각각 구하고, 그것을 A, B의 연속합 배열이라고 합시다. 각 연속 합 배열에서 숫자를 하나씩 골라서 더했을 때 원하는 숫자를 몇 개 만들 수 있는지 확인하면 정답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연속합 구하기
연속합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열이 원형이기 때문에 인덱스를 넘어가더라도 시작하는 위치가 마지막 인덱스가 될 때까지 합을 구합니다.
ex) 길이 3 예시에서 빨간색 구간의 연속합: array[3] + array[4] + array[0]
따라서 길이가 몇이든 항상 array의 전체 길이 만큼(위에선 5개) 연속합을 구하게 됩니다.
단, 한쪽 피자만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길이가 0이거나 전체인 경우에는 1개의 연속합이 나옵니다.
var startSum = 0 // 첫 구간의 합
for (sequentSize in 1 until pizza.size - 1) {
startSum += pizza[sequentSize - 1] // 인덱스 0부터 연속 길이만큼의 피자 합
var start = 0
var end = sequentSize
var sequentSum = startSum
//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길이 sequentSize에 해당하는 연속 합들을 구한다.
// 마지막 인덱스가 첫번째 숫자가 될 때까지 진행한다.
while(start <= pizza.lastIndex) {
sumCount[sequentSum] += 1 // 해당 연속합이 몇 개 존재하는지 count
sequentSum = sequentSum - pizza[start++] + pizza[end++] // 구간 오른쪽으로 이동
if (end == pizza.size) {
end = 0
}
}
}
sumCount[0] += 1 // 피자 0개 사용
sumCount[startSum + pizza[pizza.lastIndex]] = 1 // 전체 합
누적 합 사용
위의 방법으로 연속 합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포인터 형식을 사용해서 약간은 복잡해보입니다. 이때 누적 합 방식을 사용하면 좀 더 빠르고 편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각 인덱스에서 시작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누적합을 구합니다. 그러면 각 인덱스를 시작으로 길이가 1 ~ n-1인 연속합을 모두 구할 수 있습니다.
for (i in 0 until pizza.size) { // 시작 위치
var sum = 0
// 항상 pizza-1개의 연속합을 찾을 수 있다(전체 합 제외)
for (j in i until i + pizza.size - 1) {
sum += pizza[j % pizza.size]
}
}
가지 수 계산
모든 연속합을 구했으니 이제 모두 확인해보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자조각이 최대 1000개이기 때문에 전부 확인하면 시간초과가 발생합니다.
각 연속합을 구할 때 O(n^2), 두 연속합끼리 비교할 때 O(n^2) ==> 최종: O(n^4)
어떻게 시간 복잡도를 줄일 수 있을까요?
우리가 찾고자 하는 목표가 정해져있다는 것에 주목해봅시다. 연속합A에서 특정 합 k를 골랐을 때, 연속합B에서 target - k가 있는지 확인만 하면 됩니다. 즉, A에서 숫자를 골랐을 때 B에서는 그 숫자가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몇 개가 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다면 굳이 모든 조합을 비교하지 않아도 됩니다.
해싱
위의 방법대로 구현하기 위해서 Map(key: sum, value: coun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의 연속합(sumA)을 구해서 모두 Map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B의 연속합(sumB)을 구해서 Map에 (target - sumB)이 있는지즉, sumA + sumB = target을 만드는 sumA가 Map에 있는지 확인하면 O(n^2)의 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pizza A의 연속합을 구할 때마다 counArray에 sum count를 증가시킨다
// 숫자가 최대 1,000,000이기 때문에 map 대신 배열을 사용할 수 있음
sumCountArray[sequentSum] += 1
// pizza B의 연속합을 구할 때마다 target을 만드는 sumA가 있는지 확인
if (target - sum >= 0){
count += sequentSumArray[target - sum] // 없으면 0, 있으면 1 이상이 저장되어 있음
}
연속합의 크기가 최대 1,000,000이기 때문에 Map 대신 배열을 사용했습니다.
투 포인터
원하는 숫자가 정해져있다는 것에서 힌트를 얻어 해싱 기법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투 포인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쪽에서 연속합을 선택했을 때, 다른 쪽의 연속합이 정렬되어 있다면 크기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val sumA = getSumArrayOf(pizzaA) // 연속합A
val sumB = getSumArrayOf(pizzaB) // 연속합B
sumA.sort() // 투 포인터를 사용하기 위해 정렬
sumB.sortDescending()
// 투포인터를 사용해서 정답을 찾는다
...
투포인터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요. sumA + sumB = Target이 되는 두 포인터를 찾았을 때, 같은 연속합이 배열에 여러개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때마다 중복된 값을 다 찾아서 곱한 값을 더해줘야 합니다.
while (indexA < arrayA.size && indexB < arrayB.size) {
val sum = arrayA[indexA] + arrayB[indexB]
if (sum < target) {
indexA++
} else if (sum > target) {
indexB++
} else { // 양쪽에서 중복 값을 다 찾아서 개수를 곱한다
var countA = 0L
var countB = 0L
val prevA = arrayA[indexA]
val prevB = arrayB[indexB]
while (indexA < arrayA.size && arrayA[indexA] == prevA) {
countA++
indexA++
}
while (indexB < arrayB.size && arrayB[indexB] == prevB) {
countB++
indexB++
}
count += countA * countB
}
}
이분 탐색(upper_bound, lower_bound)
정렬된 데이터셋에서 원하는 값을 찾는 또 한가지 방법으로 이분 탐색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같은 연속합이 여러개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한쪽에서 연속합을 선택한 후, 반대편 연속합에서 원하는 값의 upper_bound와 lower_bound를 구해서 두 값을 빼주는 방식으로 target을 만드는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생각 과정
각 피자에서 1조각 이상을 선택해서 특정 크기의 피자를 판매하려고 할 때, 가능한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피자조각을 선택할 땐 항상 연속해서 잘라야 하고, 한 쪽 피자만 사용할 수도 있다.
우선 두 피자의 모든 연속합 필요하다.
연속합을 모두 비교하면 시간 초과가 난다.
구하려고 하는 합이 정해져있다 -> 각각의 연속합을 구해서 반대편에서 원하는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을 떠올린다. 각각의 연속합을 구하는 과정은 시간 내에 해결할 수 있다.
코드1 (해싱)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target = readLine().toInt()
val (m, n) = readLine().split(" ").map(String::toInt)
val pizzaA = IntArray(m) { readLine().toInt() }
val pizzaB = IntArray(n) { readLine().toInt() }
val sequentSumArray = getSumArrayOf(pizzaA)
print(getCount(sequentSumArray, pizzaB, target))
}
// 1연속 조각 ~ n연속 조각의 합 개수 count (해싱)
fun getSumArrayOf(pizza: IntArray): IntArray {
val sumCountArray = IntArray(1_000_001)
var totalSum = 0 // 전체 합을 담을 변수
for (i in 0 until pizza.size) {
totalSum += pizza[i]
var sum = 0
for (j in i until i + pizza.size - 1) { // 전체 합은 제외
sum += pizza[j % pizza.size] // 누적합, 원형 배열
sumCountArray[sum]++
}
}
sumCountArray[0] = 1 // 길이 0
sumCountArray[totalSum] = 1 // 전체 합
return sumCountArray
}
// pizzaB의 연속합을 구해서 pizzaA의 연속합에 target을 만드는 값이 있는지 확인
fun getCount(sequentSumArray: IntArray, pizzaB: IntArray, target: Int): Long {
var count = 0L
var totalSum = 0
for (i in 0 until pizzaB.size) {
totalSum += pizzaB[i]
var sum = 0
for (j in i until i + pizzaB.size - 1) {
sum += pizzaB[j % pizzaB.size]
// target을 만드는 sumA가 있는지 확인
if (target - sum >= 0){
count += sequentSumArray[target - sum]
}
}
}
count += sequentSumArray[target] // pizzaA만 사용하는 경우
if (target - totalSum >= 0){ // pizzaB 전체 합
count += sequentSumArray[target - totalSum]
}
return count
}
코드2 (투 포인터)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target = readLine().toInt()
val (m, n) = readLine().split(" ").map(String::toInt)
val pizzaA = IntArray(m) { readLine().toInt() }
val pizzaB = IntArray(n) { readLine().toInt() }
val sumA = getSumArrayOf(pizzaA)
val sumB = getSumArrayOf(pizzaB)
sumA.sort()
sumB.sortDescending()
print(getCount(sumA, sumB, target))
}
// 1연속 조각 ~ n연속 조각의 합을 담은 배열 반환
fun getSumArrayOf(pizza: IntArray): IntArray {
val size = pizza.size
val sumArray = IntArray(1 + size * (size-1) + 1)
var sumIndex = 0
var totalSum = 0 // 전체 합을 담을 변수
// 연속합을 모두 저장
for (i in 0 until pizza.size) {
totalSum += pizza[i]
var sum = 0
for (j in i until i + pizza.size - 1) { // 전체 합은 제외
sum += pizza[j % pizza.size]
sumArray[sumIndex++] = sum // 누적합, 원형 배열
}
}
sumArray[sumIndex++] = 0 // 길이 0
sumArray[sumIndex] = totalSum // 전체 합
return sumArray
}
// 투포인터
fun getCount(arrayA: IntArray, arrayB: IntArray, target: Int): Long {
var count = 0L
var indexA = 0
var indexB = 0
while (indexA < arrayA.size && indexB < arrayB.size) {
val sum = arrayA[indexA] + arrayB[indexB]
if (sum < target) {
indexA++
} else if (sum > target) {
indexB++
} else {
var countA = 0L
var countB = 0L
val prevA = arrayA[indexA]
val prevB = arrayB[indexB]
while (indexA < arrayA.size && arrayA[indexA] == prevA) {
countA++
indexA++
}
while (indexB < arrayB.size && arrayB[indexB] == prevB) {
countB++
indexB++
}
count += countA * countB
}
}
return cou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