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2075

 

2075번: N번째 큰 수

첫째 줄에 N(1 ≤ N ≤ 1,5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N개의 수가 주어진다. 표에 적힌 수는 -10억보다 크거나 같고, 10억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www.acmicpc.net

풀이

간단한 규칙이 있는 이차원 배열 수들 중 n번째로 큰 수를 찾는 문제였다.

 

공간 복잡도: 1500 *1500 * 4 byte = 9MB

시간 복잡도: 2,250,000 * log(2,250,000) = 2,250,000 * 21. ~ = 약 47,250,000

처음엔 복잡도가 충분해보였고 혹시 공간 복잡도에 문제가 있을까 싶었지만, 우선 일차원 배열을 정렬해서 답을 구해봤다. 그리고 예상외로 시간초과 판정을 받았다.

왜 시간초과가 발생했는지 찾아봤는데, 자바의 Array와 Collections의 정렬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었다.
정렬의 실제 시간 복잡도는 C * 시간복잡도 + a로 알고리즘에 따라 C값이 달라지는데, Array는 퀵정렬을, Collections은 Tim 정렬이라는 걸 사용한다고 한다. 그 이유는, Array는 데이터들이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반면, list는 산발적인 연결리스트 방식으로도 존재해서 참조 지역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리스트를 사용했을 때 시간 초과가 났고, IntArray로 풀어봤더니 정말로 됐다ㅋㅋ 

(자세한 내용은 https://sabarada.tistory.com/138 여기를 참고했습니다ㅋ.ㅋ)

 

 

다시 문제로 돌아와서, 고민하다가 풀이를 찾아보니 heap 또는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는 문제였다. 문제에서 주어진 배열의 크기 조건에 관계 없이 heap의 특징을 사용해서 쉽게 푸는 방법문제 조건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고, 후자의 방법이 조금 더 빨랐다. 

참고) https://jihogrammer.tistory.com/25

 

 

방법1)

아이디어는 간단하다. 연산을 끝마쳤을 때 heap에 가장 큰 수 n개가 들어있게 만든다면, 그 중 최소 값이 n번째로 큰 수가 된다. 그러기 위해서, 최소heap에 수를 하나씩 넣는다. 그리고 크기를 n으로 유지하기 위해 최소 값을 삭제하고 새로운 숫자를 삽입하면, 연산할 때마다 최소 값이 하나씩 사라지므로 연산이 끝났을 때의 n개의 숫자들이 가장 큰 수의 집합이 된다. 

 

방법2)

두 번째 방법은 방법1에서 heap의 연산(logn) 횟수를 절약하는 것이다. 방법1에서는 연산을 할 때마다 heap에서 값을 빼고 넣는데, 사실 heap의 목적은 최소 값을 버림으로써 지금까지의 숫자들 중 최대 값 n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heap의 최소 값보다 작은 수는 연산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략한다.

 

방법3)

세 번째는 heap과 더불어 문제의 조건도 함께 사용하는 방법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핵심은 연산할 때마다가 아닌, 연산이 모두 끝났을 때 가장 큰 숫자 n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아이디어) 최대 heap을 사용한다. 처음에 heap이 전체의 최대 값을 갖고 있고, n-1번의 연산 동안 최대 값을 그 다음의 최대 값으로 교체할 수 있다면, 그때 최대heap의 값이 답이 된다.

 

이해하면 간단할 수도 있는데,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적인 느낌도 들고 처음부터 떠올리기엔 쉽지 않은 것 같다ㅋㅋ

 

구현 방법)

1. 이차원 배열에 숫자를 입력 받는다.

2. 마지막 행의 수들을 최대heap에 넣는다.

3. 그러면 heap은 처음에 가장 큰 수를 포함해서 각 열의 최대 값을 갖게 된다.

4. heap의 최대 값을 삭제한다.

5. 삭제한 값을 numbers[row][col]라고 할 때, heap에 numbers[row-1][col]을 삽입한다. 그럼 항상 모든 열의 최대 값을 heap이 갖게 되는데, 전체 수의 최대 값은 항상 모든 열의 최대 값 중 하나이다.

6. 따라서 이 연산을 n-1번 반복했을 때, 힙의 최대 값이 n번째로 큰 수가 된다.

 

구현을 위해선 이차원 배열에 값을 저장해놓고, 힙에 배열의 좌표를 함께 저장해야 한다. 

 

코드1

import java.util.*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pq = PriorityQueue<Int>() // 최소힙

    // 힙의 사이즈를 n으로 유지한다
    pq.addAll(readLine()!!.trim().split(" ").map{it.toInt()}) // 힙에 첫번째 줄 삽입
    repeat(n-1){
        val list = readLine()!!.trim().split(" ").map{ it.toInt() }
        list.forEach { number ->
            pq.offer(number)
            pq.poll()
        }
    }

    // 가장 큰 n개의 수만 남아있다
    println(pq.poll())
}

 

코드2

import java.util.*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pq = PriorityQueue<Int>(n) // 최소힙

    pq.addAll(readLine()!!.trim().split(" ").map{it.toInt()}) // 첫번째 줄 삽입
    
    repeat(n-1){
        val list = readLine()!!.trim().split(" ").map{ it.toInt() }
        list.forEach { number ->
            // 최대 값 n개를 유지한다 -> 힙의 최소 값보다 작은 수는 넣을 필요가 없다
            // 힙 연산 횟수를 줄이기 위해 힙의 최소 값보다 작은 수는 생략
            if (pq.peek() < number){	  
                pq.poll()
                pq.offer(number)
            }
        }
    }

    // 가장 큰 n개의 수만 남아있다
    println(pq.poll())
}

 

코드3

// 시간을 더 단축해보고 싶어서 StringTokenizer 사용했습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data class Number(val row: Int, val column: Int, val number: Int)

fun main() = with(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
    val n = readLine().toInt()
    val numbers = Array(n){ mutableListOf<Number>() }

    // 이차원 배열에 좌표와 함께 저장
    repeat(n){ i ->
        val st = StringTokenizer(readLine())
        for(j in 0 until n){
            val number = st.nextToken().toInt()
            numbers[i].add(Number(i, j, number))
        }
    }

    // 최대heap
    val pq = PriorityQueue<Number>(compareByDescending{it.number}).apply{
        addAll(numbers[n-1])    // 가장 큰 수가 들어있는 마지막 라인 추가
    }
    
    // 가장 큰 수를 차례대로 n-1번 꺼낸다
    repeat(n-1){
        val maxNumber = pq.poll()
        pq.add(numbers[maxNumber.row-1][maxNumber.column]) // 그 다음으로 가장 큰 수 n개 유지
    }

    println(pq.peek().number)
}

 

https://www.acmicpc.net/problem/2110

 

2110번: 공유기 설치

첫째 줄에 집의 개수 N (2 ≤ N ≤ 200,000)과 공유기의 개수 C (2 ≤ C ≤ N)이 하나 이상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집의 좌표를 나타내는 xi (0 ≤ xi ≤ 1,000,000,000)가

www.acmicpc.net

 

풀이

문제가 실버라서 얕봤다가 크게 다쳤다. 조건 자체를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가장 인접한 두 공유기 사이의 거리를 최대로 하라는 말이 와닿지 않았다. 가장 인접한, 최대 거리??

그래서 마이구미님 블로그(https://mygumi.tistory.com/301)를 참고해서 이해할 수 있었다.

 

위 말을 맥락적으로 해석하면, 최대한 공평하면서도 간격이 크게 공유기를 설치하라는 것이다. 특정 두 집의 사이의 설치 간격이 너무 커지면, 그만큼 나머지 설치된 집들 사이의 간격은 짧아져서 가장 인접한 설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즉, 거리가 가장 가까운 두 공유기 사이의 거리를 k라고 하면, 나머지 인접한 공유기들 사이의 모두 k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ex) k = 3,  2 <-> 5 <-> 12 <-> 15 <-> 19  - (공유기가 설치된 위치)

                         3        7           3           4          - (사이 거리) --> 모두 3보다 크거나 같다

 

이 문제는 이분 탐색의 응용인 파라메트릭 서치를 통해서 해결하는 문제로 알려져 있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가장 인접한 공유기 사이의 거리를 대상으로 이분탐색을 진행한한다.

2. 그 거리보다 크거나 같도록하는 기준을 만족시키면서 왼쪽 집부터 공유기를 설치하면서 갯수를 센다. 

3. 문제에서 주어진 공유기의 개수와 설치한 공유기의 개수를 비교해서, 같거나 더 많이 설치했다면 간격을 늘리고, 더 적게 설치했다면 간격을 줄인다.

4. left(lower) <= right(upper)일 때까지 1~3번을 반복하여 가장 인접한 설치 거리의 상한선을 찾는다.   

 

여기서 이해가 안갔던 건 왜 왼쪽 집부터 항상 공유기를 설치하느냐는 것이었다. 정확하게 증명하려면 약간의 수학이 필요한듯 한데, 자세한 건 https://www.acmicpc.net/board/view/50802를 참고해보자.

  

 

코드

fun main(){
    var n = 0
    var c = 0
    val listOfHouse = mutableListOf<Int>()

    readLine()!!.trim().split(" ").map{ it.toInt() }.let{
        n = it[0]
        c = it[1]
    }

    repeat(n){
        listOfHouse.add(readLine()!!.toInt())
    }
    listOfHouse.sort()	// 정렬: 이분탐색의 전제 조건

    var lower = 1	// 최소 간격
    var upper = listOfHouse.last() - listOfHouse[0]	// 최대 간격: 양 끝 집 사이의 거리
    var answer = upper

    while(lower <= upper){
        val mid = (lower + upper) / 2
        var count = 1			// 공유기 설치한 횟수
        var prevHouseIdx = 0	// 직전에 설치된 집

        // mid보다 인접 간격이 길거나 같도록 설치한다
        for(i in 1 until n){
            if (listOfHouse[i] - listOfHouse[prevHouseIdx] >= mid){
                count++
                prevHouseIdx = i
            }
        }
        
        // c == count -> 간격을 더 늘려도 모두 설치할 수 있는지 확인해본다
        // c < count -> 더 많이 설치됐다 -> 설치 간격을 늘려본다
        if (c <= count){
            lower = mid + 1
            answer = mid
        }else{			// 더 많은 공유기를 설치해야 한다 -> 간격을 줄인다
            upper = mid - 1
        }
    }

    println(answer)
}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4

 

10844번: 쉬운 계단 수

첫째 줄에 정답을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풀이

길이가 (k-1)인 계단 수에 마지막 자리 숫자의 +1, -1한 수를 붙이면 길이가 k인 계단 수를 구할 수 있다.

ex) 12 -> 121, 123

 

이걸 점화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dp[k][i]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면,

dp[k][i]: 길이가 k이고, 마지막 자리 숫자가 i인 계단 수의 개수

dp[k][i] = {

               if (i == 0), dp[k-1][i+1]

               if (0 < i < 9), sum(dp[k-1][i+1]) + sum(dp[k-1][i-1])

               if (i == 9), dp[k-1][i-1]

             }

ex) 길이가 4이고 3으로 끝나는 계단 수의 개수는, 길이가 3이고 2로 끝나는 계단 수의 개수와 4로 끝나는 계단 수의 개수를 합한 값

 

위와 같이 계단 수의 길이를 기준으로 이전 항의 값으로 다음 항의 값을 표현할 수 있고, 키 포인트는 이전 길이의 계단 수들이 어떤 숫자로 끝났는지 기록하는 것이다. 그리고 0과 9로 끝나는 수들은 다른 숫자들과는 다르게 1과 8에서만 파생된다.

 

이 문제는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유형으로, 문제 상황을 이전 값으로 다음 값을 표현할 수 있으면 해결이 가능하다. 그걸 어떻게 생각해내느냐는 어릴 때 수학을 열심히 했거나, 머리가 좋거나, 둘 다 아니라면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수밖에 없는듯 하다.

코드

fun main(){
    val n = readLine()!!.toInt()
    var table = Array(100){IntArray(10)}

    // 한 자리 계단 수는 1~9 한 개씩
    for (i in 1..9){
        table[0][i] = 1
    }
    
    // 길이 2~n까지 n-1번 반복
    repeat(n-1){ k ->
        table[k+1][0] = table[k][1]
        table[k+1][9] = table[k][8]

        for (i in 1..8){
            table[k+1][i] = (table[k][i-1] + table[k][i+1]) % 1_000_000_000
        }
    }

    // 길이 n의 모든 계단 수의 개수를 합한다
    println(table[n-1].toList().reduce{acc, num -> (acc + num) % 1_000_000_000})
}

'Problem Solving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백준 2110 - 공유기 설치  (0) 2021.12.02
(Kotlin) 백준 11057 - 오르막 수  (0) 2021.12.01
(Kotlin) 백준 9251 - LCS  (0) 2021.09.16
(Kotlin) 백준 14501 - 퇴사  (0) 2021.09.15
(Kotlin) 백준 1904 - 01타일  (0) 2021.09.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