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8427

 

18427번: 함께 블록 쌓기

첫째 줄에 자연수 N, M, H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1 ≤ N ≤ 50, 1 ≤ M ≤ 10, 1 ≤ H ≤ 1,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서 각 학생이 가진 블록들의 높이가 공백을 기준으로 구

www.acmicpc.net

풀이

N명의 학생이 최대 M개의 블록을 갖고 있으며, 각자가 갖는 블록들의 높이는 모두 다르다. 이 때, 학생 당 최대 하나의 블록을 사용해서 높이가 H인 블록을 쌓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을지 찾는 문제이다.

1) 완전 탐색

먼저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완전 탐색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시간 복잡도가 n x n x n ... x n = O(n^m)인 지수 시간 복잡도가 나오므로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는 방법은 불가능하다. (1 ≤ ≤ 50, 1 ≤ ≤ 10)

2)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어떻게 풀 수 있을까?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야할 것 같은데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진다. 이 때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을 생각해볼 수 있는 것 같다. (느낌적인 느낌)

 

점화식을 어떻게 세울 수 있을까? 이 문제는 배낭문제와 유사한데, 블록을 쌓는 모든 방법을 2가지 경우의 수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 (1)임의의 [i]번째 학생의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블록을 쌓는 방법과 (2)[i]의 블록을 반드시 사용해서 블록을 쌓는 방법. 이것을 점화식으로 연결해서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나온다.

DP[i][0] = 1
DP[i][h] = DP[i-1][h]   , if ( h < h[i] )
DP[i][h] = (1)DP[i-1][h] + (2)DP[i-1][ h - h[i] ]    (h[i]: i번째 학생의 블록의 높이)

 

DP[i][h]는 i번째 학생까지 확인했을 때, 높이 h인 블록을 쌓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식 (2)는 [i]번째 학생의 블록을 반드시 사용하는 경우인데, 이는 높이 h에서 [i]가 사용한 블록의 높이를 뺀 높이의 블록을 [1~(i-1)] 번째 학생들의 블록만으로 쌓는 경우의 수와 같다.

사실 학생들마다 여러 블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을 좀 더 정확히 표현하면

DP[i][h] = (1)DP[i-1][h] + (2)sum(DP[i-1][ h - h[i] ])이 된다.

 

DP[i][0] = 1인 이유는, 학생[i]의 블록을 반드시 사용할 때 h - h[i] = 0이라면 그 블록 하나만으로 쌓는 경우의 수 한 가지를 고려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1로 초기화하지 않으면 dp를 진행해도 모든 값이 0으로 나온다. 

 

이를 따라서 백준의 예시 입력을 dp 테이블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높이(h)-> 0 1 2 3 4 5
X 1 0 0 0 0 0
학생1 1 0 1 1 0 1
학생2 1 0 1 2 0 3
학생3 1 1 2 4 3 6

 

우리가 원하는 정답은 DP[n][h]인데, 이를 알기 위해서는 i=0, h=1일 때의 값부터 알아야 한다. 재귀함수와 메모이제이션 기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나는 바텀업 방식을 사용했다.

 

위 점화식을 코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 dp(점화식) 진행
for (i in 1..n){
    for (h in 1..height){
       var sum = 0
       
       // 학생들이 여러개의 블록을 갖고 있으므로 각 블록마다 식을 적용해서 합을 구한다.
       // sum(DP[i-1][ h - h[i] ])
        blocks[i].forEach { eachBlock ->
            if (h >= eachBlockt){
                sum += dp[i-1][h - eachBlock]
                sum %= 10007
            }
        }
        
        dp[i][h] = dp[i-1][h] + sum	// DP[i][h] = (1)DP[i-1][h] + (2)sum(DP[i-1][ h - h[i] ]) 
        dp[i][h] %= 10007
    }
}

코드

fun main() {
    var n = 0
    var maxBlock = 0
    var height = 0

    readLine()!!.split(" ").also {
        n = it[0].toInt()
        maxBlock = it[1].toInt()
        height = it[2].toInt()
    }

    val blocks = Array(n+1){ mutableListOf<Int>() }		// 각 학생들의 블록 배열
    val dp = Array(n+1){ Array(height+1){0} }		// dp 테이블

    // 학생들의 블록 입력 받아서 추가
    for (i in 1..n){
        dp[i-1][0] = 1
        readLine()!!.split(" ").forEach {
            blocks[i].add(it.toInt())
        }
    }

    // dp(점화식) 진행
    for (i in 1..n){
        for (h in 1..height){
            var sum = 0
            
           // 학생들이 여러개의 블록을 갖고 있으므로 각 블록마다 식을 적용해서 합을 구한다.
           // sum(DP[i-1][ h - h[i] ])
            blocks[i].forEach { eachBlock ->
                if (h >= eachBlockt){
                    sum += dp[i-1][h - eachBlock]
                    sum %= 10007
                }
            }
            
            dp[i][h] = dp[i-1][h] + sum	// DP[i][h] = (1)DP[i-1][h] + (2)sum(DP[i-1][ h - h[i] ]) 
            dp[i][h] %= 10007
        }
    }

    println(dp[n][height])
}

리뷰

  • 10007로 나누는 거 처음에 까먹고 틀렸다..ㅋ
  • 내 머리론 dp가 직관적으로 이해가 쉽진 않다. 가장 이해하기 어려웠던 건 i번째 학생을 고려할 때 왜 특정 학생으로 계산을 하느냐는 것이었다. 어떤 학생이든 될 수 있는데 왜 특정 학생으로 계산을 하는건지 이해가 안됐는데, 지금껏 이해한 바로는 "결국 n번째까지 가면서 모든 학생을 고려하기 때문에 순서는 상관 없다" 이다. 맞나?ㅋㅋ
  • dp가 재귀와 관련돼서인지 이해하기가 어렵다. 이전 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게 정신 건강에 좋을듯 하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6954

 

16954번: 움직이는 미로 탈출

욱제는 학교 숙제로 크기가 8×8인 체스판에서 탈출하는 게임을 만들었다. 체스판의 모든 칸은 빈 칸 또는 벽 중 하나이다. 욱제의 캐릭터는 가장 왼쪽 아랫 칸에 있고, 이 캐릭터는 가장 오른쪽

www.acmicpc.net

 

문제

욱제는 학교 숙제로 크기가 8×8인 체스판에서 탈출하는 게임을 만들었다. 체스판의 모든 칸은 빈 칸 또는 벽 중 하나이다. 욱제의 캐릭터는 가장 왼쪽 아랫 칸에 있고, 이 캐릭터는 가장 오른쪽 윗 칸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 게임의 특징은 벽이 움직인다는 점이다. 1초마다 모든 벽이 아래에 있는 행으로 한 칸씩 내려가고, 가장 아래에 있어서 아래에 행이 없다면 벽이 사라지게 된다. 욱제의 캐릭터는 1초에 인접한 한 칸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인접한 한 칸으로 이동하거나, 현재 위치에 서 있을 수 있다. 이동할 때는 빈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1초 동안 욱제의 캐릭터가 먼저 이동하고, 그 다음 벽이 이동한다. 벽이 캐릭터가 있는 칸으로 이동하면 더 이상 캐릭터는 이동할 수 없다.

 

욱제의 캐릭터가 가장 오른쪽 윗 칸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 없는지 구해보자.

 

입력

8개 줄에 걸쳐서 체스판의 상태가 주어진다. '.'은 빈 칸, '#'는 벽이다. 가장 왼쪽 아랫칸은 항상 벽이 아니다.

 

출력

욱제의 캐릭터가 가장 오른쪽 윗 칸에 도착할 수 있으면 1, 없으면 0을 출력한다.

 

 

풀이

BFS로 풀 수 있는 그래프 문제인데, 특징은 벽이 아래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벽과 캐릭터가 충돌하면 캐릭터는 더이상 움직일 수 없고, 캐릭터는 인접 방향,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자리에 있을 수도 있다.

 

큐에 있는 모든 캐릭터를 BFS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한 칸씩만 움직인다. 제자리에 있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난 이걸 빼먹어서 틀렸다..ㅋ. 주의할 점은 벽의 위치에 따라 상황이 달라지므로 중복 방문은 체크하면 안되는데, 같은 턴 내에서는 체크를 해도 된다.

한 칸의 BFS 순회가 끝나면 벽을 움직여서 상황에 맞게 캐릭터와 벽을 소멸시킨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반복해서 BFS 전체 프로세스가 끝나기 전에 목표에 도달하면 1을, 그러지 못하면 0을 반환한다.

 

좌표(Point)를 data class로 만들어서 캐릭터와 캐릭터의 움직임(dPoint)을 표현했으며, ArrayDeque을 사용해서 큐를 구현했다.

그리고 벽은 움직이거나 소멸시키기 위해 리스트에 따로 저장해서 관리했고, Pair를 사용해서 좌표로 표현했다.

 

 

코드

fun main(){
    data class Point(var x: Int, var y: Int)

    var wallList = mutableListOf<Pair<Int, Int>>()
    val queue = ArrayDeque<Point>()
    val dPoint = arrayListOf(Point(0, 0),
        Point(0, -1), Point(1, -1), Point(1, 0), Point(1, 1), Point(0, 1), Point(-1, 1), Point(-1, 0), Point(-1, -1)
    )

    repeat(8) { i ->
        readLine()!!.forEachIndexed { j, ch ->
            if (ch == '#') wallList.add(Pair(j, i))
        }
    }

    queue.add(Point(0, 7))

    while (queue.isNotEmpty()) {
        val queueSize = queue.size

        repeat(queueSize) { _ ->
            val character = queue.removeFirst()

            for (d in dPoint) {
                val newPoint = Point(character.x + d.x, character.y + d.y).also {
                    if (it.x == 7 && it.y == 0) {
                        println(1)
                        return
                    }
                }

                if (newPoint.x in 0..7 && newPoint.y in 0..7 && Pair(newPoint.x, newPoint.y) !in wallList) {
                    queue.add(newPoint)
                }
            }
        }

        val removingList = mutableListOf<Point>()
        wallList = wallList
            .asSequence()
            .filter{ it.second+1 < 8 }
            .map{
                for(character in queue){
                    if (it.first == character.x && it.second+1 == character.y){ removingList.add(character) }
                }
                Pair(it.first, it.second + 1)}
            .toMutableList()

        removingList.forEach { queue.remove(it) }
    }
    println(0)
}

 

리뷰

코틀린으로 백준 형식의 문제와 그래프 문제를 처음 풀어봤는데, 어색했고 파이썬으로 풀 때보다 어려웠다. 

 

코드가 객체로도 좌표를 표현하고, Pair로도 좌표를 나타내고 있어서 비효율에 중구난방이 됐다.

곰곰이 생각해보니까 좌표를 사용하는데, 그래프는 사용하지 않는 것에서부터 뒤죽박죽이 됐다. 그래서 벽이랑 캐릭터 충돌을 확인할 때마다 반복문을 돌리고 있다. 정리가 더 필요하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8

 

코딩테스트 연습 - 오픈채팅방

오픈채팅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 채팅방을 나간 후, 새로운 닉네임으로 다시 들어간다.
  •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한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 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올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는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이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record는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담긴 배열이며,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이다.
  • 다음은 record에 담긴 문자열에 대한 설명이다.
    • 모든 유저는 [유저 아이디]로 구분한다.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으로 채팅방에 입장 - "Enter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Enter uid1234 Muzi")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퇴장 - "Leave [유저 아이디]" (ex. "Leave uid1234")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을 [닉네임]으로 변경 - "Change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Change uid1234 Muzi")
    • 첫 단어는 Enter, Leave, Change 중 하나이다.
    • 각 단어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 숫자로만 이루어져있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은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를 구별한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의 길이는 1 이상 10 이하이다.
    • 채팅방에서 나간 유저가 닉네임을 변경하는 등 잘못 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는다.

입출력 예

record result
["Enter uid1234 Muzi", "Enter uid4567 Prodo","Leave uid1234","Enter uid1234 Prodo","Change uid4567 Ryan"]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설명과 같다.

 

풀이

한 오픈채팅방에 있는 유저들에 대한 record 배열을 가지고, 유저들의 입장/퇴장에 대한 문자열을 배열에 담아 반환하는 문제다.

record에는 유저들의 입장/퇴장/닉네임 변경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

문자열 형식은 "[닉네임]님이 [입장or퇴장]하셨습니다." 이고, 해당 유저가 마지막으로 바꾼 닉네임으로 출력해야 한다.

 

그러므로 유저의 최종 닉네임을 알아야 하는데, 유저가 닉네임을 바꿀 수 있는 경우는 2가지이다.

1. 오픈채팅방 안에서 바꾼 경우

2. 오픈채팅방에서 퇴장한 다음 닉네임을 변경해서 재입장 하는 경우

 

따라서, 우선 record를 한번 순회해서 유저들의 닉네임 변경만을 확인해서 최종 닉네임을 저장한다. 그리고 다시 record를 순회하며 입장/퇴장에 대한 문장을 최종 닉네임과 함께 배열에 담아서 반환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코드1

내 머리에서 나온 코드

class Solution {
    fun solution(record: Array<String>): Array<String> {
        val answer = mutableListOf<String>()
        val userNickname = mutableMapOf<String, String>()

	// 1차 순회 - 닉네임 변경 확인
        record.forEach{
            it.split(" ").let{ line ->
                if (line[0] == "Enter" || line[0] == "Change"){ userNickname[line[1]] = line[2] }
            }
        }

	// 2차 순회 - 최종 반환할 배열
        record.forEach{
            it.split(" ").let{ line ->
                when(line[0]){
                    "Enter" -> answer.add("${userNickname[line[1]]}님이 들어왔습니다.")
                    "Leave" -> answer.add("${userNickname[line[1]]}님이 나갔습니다.")
                    else -> {}
                }
            }
        }

        return answer.toTypedArray()
    }
}

 

코드2

프로그래머스에서 좋아요3개로 가장 많은 좋아요가 있던 코드를 참고한 것인데, 메소드 체이닝 형식으로 되어 있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record: Array<String>): Array<String> {
        val userNickname = mutableMapOf<String, String>()

        return record
            .map {
                it.split(" ").let { line ->
                    val action = line[0]
                    if (action == "Enter" || action == "Change") {
                        userNickname[line[1]] = line[2]
                    }
                    line
                }
            }
            .asSequence()
            .filter { it[0] != "Change" }
            .map {
                val nickname = userNickname[it[1]]
                val explanation: String = when (it[0]) {
                    "Enter" -> "님이 들어왔습니다."
                    "Leave" -> "님이 나갔습니다."
                    else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
                }
                "$nickname$explanation"
            }
            .toList().toTypedArray()
    }
}

리뷰

레벨2였지만 문제에서 하라는대로 하면 됐기 때문에 [키패드 누르기]와 체감 난이도는 비슷했다. 오히려 코드는 짧았다

.

함수형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풀 순 없을까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 풀이에 딱 원하던 게 있었다. 그리고 읽으면서 내가 let문을 좀 남발하는구나 싶었던게, 람다문 안에서 let을 쓰니 중괄호가 늘어서 가독성이 떨어져보였다. 람다문 안에서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let같은 애들은 자제하는 게 좋을 것 같다.

 

Sequence라는 문법이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다음에 한번 정리해 봐야겠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56

 

코딩테스트 연습 - 키패드 누르기

[1, 3, 4, 5, 8, 2, 1, 4, 5, 9, 5] "right" "LRLLLRLLRRL" [7, 0, 8, 2, 8, 3, 1, 5, 7, 6, 2] "left" "LRLLRRLLLRR" [1, 2, 3, 4, 5, 6, 7, 8, 9, 0] "right" "LLRLLRLLRL"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2. 왼쪽 열의 3개의 숫자1,4,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3.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3,6,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2,5,8,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left" 또는"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numbers | hand | result

[1, 3, 4, 5, 8, 2, 1, 4, 5, 9, 5] "right" "LRLLLRLLRRL"
[7, 0, 8, 2, 8, 3, 1, 5, 7, 6, 2] "left" "LRLLRRLLLRR"
[1, 2, 3, 4, 5, 6, 7, 8, 9, 0] "right" "LLRLLRLLRL"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순서대로 눌러야 할 번호가 [1, 3, 4, 5, 8, 2, 1, 4, 5, 9, 5]이고, 오른손잡이입니다.

왼손 위치 | 오른손 위치 | 눌러야 할 숫자 | 사용한 손 | 설명

* # 1 L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1 # 3 R 3은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1 3 4 L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4 3 5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5 3 8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3이므로 왼손으로 8을 누릅니다.
8 3 2 R 왼손 거리는 2, 오른손 거리는 1이므로 오른손으로 2를 누릅니다.
8 2 1 L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1 2 4 L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4 2 5 R 왼손 거리와 오른손 거리가 1로 같으므로, 오른손으로 5를 누릅니다.
4 5 9 R 9는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4 9 5 L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5 9 - -  

따라서 "LRLLLRLLRRL"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왼손잡이가 [7, 0, 8, 2, 8, 3, 1, 5, 7, 6, 2]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RLLRRLLLRR"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오른손잡이가 [1, 2, 3, 4, 5, 6, 7, 8, 9, 0]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LRLLRLLRL"이 됩니다.

 

풀이

레벨1이라서 어렵진 않았지만, 레벨1인데 코드가 길어지는 것 같아서 살짝 당황스러웠던 문제다.

 

숫자들이 주어졌을 때 각 숫자를 눌러야 하는 손가락의 배열을 반환하면 되는데,

가운데 숫자인 2, 5, 8, 0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문제에서 주어진 것처럼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 키패드에 대응하는 좌표계를 설정했다.

그리고 가운데 숫자와 각 손가락 좌표의 거리를 계산해야 하므로, 각 손가락의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를 추가했다.

거리를 계산할 때는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만 파악하기 위해 루트와 제곱 계산은 생략하고, x좌표 차이와 y좌표 차이의 합으로만 처리했다.  

 

코드

class Solution {
    data class Pos(val x: Int, val y: Int)  // 좌표 

    // 키패드에 대응하는 좌표 맵
    val coordinateMap = mapOf(
        "1" to Pos(0, 0),
        "2" to Pos(1, 0),
        "3" to Pos(2, 0),
        "4" to Pos(0, 1),
        "5" to Pos(1, 1),
        "6" to Pos(2, 1),
        "7" to Pos(0, 2),
        "8" to Pos(1, 2),
        "9" to Pos(2, 2),
        "*" to Pos(0, 3),
        "0" to Pos(1, 3),
        "#" to Pos(2, 3)
    )
    var leftThumb = coordinateMap["*"]  // 왼손 위치 좌표
    var rightThumb = coordinateMap["#"] // 오른손 위치 좌표
    var hand = "R"                      // 손잡이 임시 초기화


    fun solution(numbers: IntArray, hand: String): String {
        var answer = ""
        this.hand = when(hand){     // (오른/왼)손잡이 초기화
            "left" -> "L"
            else -> "R"
        }

        numbers.forEach{        // 키패드 번호에 맞는 손가락을 찾는다
            when(it){
                // 1, 4, 7 -> 왼손
                1, 4, 7 -> {
                    answer += 'L'
                    leftThumb = coordinateMap[it.toString()]
                }

                // 3, 6, 9 -> 오른손
                3, 6, 9 -> {
                    answer += 'R'
                    rightThumb = coordinateMap[it.toString()]
                }

                // 가운데 키패드
                else ->{
                    answer += getAnswer(it.toString())  // 각 손가락 위치와 거리를 계산해서 정답 추가
                    when(answer.last()){
                        'L' -> leftThumb = coordinateMap[it.toString()]
                        'R' -> rightThumb = coordinateMap[it.toString()]
                    }

                }
            }
        }
        return answer
    }

    // 각 손가락 위치와 키패드와의 거리를 계산해서 정답 반환
    private fun getAnswer(number: String): String{
        val numberPos: Pos = coordinateMap[number]!!    // 키패드 -> 좌표 변환
        
        //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만 계산하면 되니까 루트랑 제곱 계산은 생략
        val leftDistance =
            (numberPos.x - leftThumb!!.x).absoluteValue + (numberPos.y - leftThumb!!.y).absoluteValue
        val rightDistance =
            (numberPos.x - rightThumb!!.x).absoluteValue + (numberPos.y - rightThumb!!.y).absoluteValue

        return when{
            leftDistance > rightDistance -> "R"
            leftDistance < rightDistance -> "L"
            else -> hand
        }
    }
}

 

리뷰

forEach문을 함수로 따로 빼서 만들면 solution 함수가 짧아져서 읽기에 더 좋을 것 같다.

 

문제 풀 때는 코드가 길어져서 이거 레벨1 맞나? 싶었는데, 다 해결하고 글로 적으려니까 풀이가 정말 직관적이고 문제 설명에 나온 그대로라서 특별히 쓸 게 없어서 머쓱했다ㅋㅋ

레벨1이 맞는 걸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