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7694

 

코딩테스트 연습 - 아이템 줍기

[[1,1,7,4],[3,2,5,5],[4,3,6,9],[2,6,8,8]] 1 3 7 8 17 [[1,1,8,4],[2,2,4,9],[3,6,9,8],[6,3,7,7]] 9 7 6 1 11 [[2,2,5,5],[1,3,6,4],[3,1,4,6]] 1 4 6 3 10

programmers.co.kr

처음에 어떻게 풀어야 할지 감이 안 와서 고민해보다가 다른 분들의 힌트를 봤다. 생활 패턴 고친다고 밤을 새워서 그런지(핑계 맞음ㅎㅎ) 봐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더라. 짐 싸서 집 가는 길에 백준에서 비슷한 문제를 풀었던 기억이 갑자기 떠올랐다ㅋㅋ. 신기하게도 샤워하거나 산책하면 아이디어가 잘 떠오르는데, 이유는 뭘까?

 

아무튼 DFS나 BFS로 풀 수 있다는 것까진 알았는데, 이번엔 어떻게 테두리만 표시할지 떠오르지 않았다. 결국 다른 분의 풀이를 봤는데, 대단한 사고력이 필요하진 않았고 오히려 방법이 단순했다. 최근에 코테 실력이 많이 는 것 같아서 "나 이제 코테 좀 치나?ㅋㅋ" 싶었는데, 반성했다.

 

결론적으론 나에게 어려운 문제였다.

요약

  1. 좌표 및 사각형 영역을 2배로 늘린다
  2. 그래프에 모든 사각형의 테두리를 표시한다. (1 vs 0 or true vs false)
  3. 사각형의 테두리를 제외한 안쪽 영역(너비)을 빈공간으로 표시한다.
  4. 테두리 전체 길이(S)와 시작점에서 도착점(src- dst)까지의 길이를 각각 구한다.
  5. 정답: min(S - (src - dst), src - dst)

풀이

1. DFS/BFS로 해결할 수 있다

그래프를 점과 빈공간으로 표시할 때, 테두리만을 나타낼 수 있으면 시작점에서 도착점까지 얼마나 이동했는지를 DFS/BFS로 알 수 있다.

2. 좌표를 늘린다!

테두리를 따라가려면 인접한 1을 탐색하면 된다. 하지만 테두리간 거리가 1이면 위와 같은 상황에서 테두리를 잘못 따라갈 수 있다. 따라서, 좌표를 모두 2배로 늘려서 위와 같은 문제를 예방한다.

3. 어떻게 바깥의 테두리만 표시할 수 있을까?

1. 우선 모든 사각형의 테두리를 표시한다.

2. 테두리 안쪽 영역을 빈공간으로 표시한다. 그럼 사각형에 포함되어 있던 테두리가 제거된다.

코드

class Solution {
    static final int SIZE = 101;
    static boolean[][] board = new boolean[SIZE][SIZE]; // true: 점 

    int[] dR = new int[]{-1, 1, 0, 0};
    int[] dC = new int[]{0, 0, -1, 1};

    public int solution(int[][] rectangle, int characterX, int characterY, int itemX, int itemY) {
        // 좌표 2배로 늘리기
        int srcRow = characterY * 2;
        int srcCol = characterX * 2;
        int dstRow = itemY * 2;
        int dstCol = itemX * 2;

        markRect(rectangle); // 그래프에 사각형 테두리만 표시
        
        // + 1: 마지막 위치에서 시작점으로 돌아온 거리
        int totalDistance = findDistance(srcRow, srcCol, srcRow, srcCol, new boolean[SIZE][SIZE], 0) + 1; 
        int distance = findDistance(srcRow, srcCol, dstRow, dstCol, new boolean[SIZE][SIZE], 0);

        return Math.min(distance, totalDistance - distance) / 2;
    }

    private void markRect(int[][] rectangles) {
        for (int[] rect: rectangles) {
            int firstRow = 2* rect[1];
            int firstCol = 2* rect[0];
            int secondRow = 2* rect[3];
            int secondCol = 2* rect[2];

            markEdge(firstRow, firstCol, secondRow, secondCol);
        }

        for (int[] rect: rectangles) {
            int firstRow = 2* rect[1];
            int firstCol = 2* rect[0];
            int secondRow = 2* rect[3];
            int secondCol = 2* rect[2];

            markSpace(firstRow, firstCol, secondRow, secondCol);
        }
    }

    // 그래프에 테두리 모두 표시
    private void markEdge(int firstRow, int firstCol, int secondRow, int secondCol) {
        for(int row = firstRow; row <= secondRow; row++) {
            board[row][firstCol] = true;
        }
        for(int col = firstCol + 1; col <= secondCol; col++) {
            board[secondRow][col] = true;
        }
        for(int row = secondRow - 1; row >= firstRow; row--) {
            board[row][secondCol] = true;
        }
        for (int col = secondCol - 1; col > firstCol; col--) {
            board[firstRow][col] = true;
        }
    }

    // 테두리를 제외한 사각형 너비 영역을 모두 빈공간으로 표시한다
    private void markSpace(int firstRow, int firstCol, int secondRow, int secondCol) {
        for (int row = firstRow + 1; row < secondRow; row++) {
            for (int col = firstCol + 1; col < secondCol; col++) {
                board[row][col] = false;
            }
        }
    }

    // DFS
    private int findDistance(int row, int col, final int dstRow, final int dstCol, final boolean[][] visited, int count) {
        if (count > 0 && row == dstRow && col == dstCol) {
            return count;
        }

        visited[row][col] = true;

        for (int i = 0; i < 4; i++) {
            int newRow = row + dR[i];
            int newCol = col + dC[i];

            if (newRow >= 0 && newRow < SIZE && newCol >= 0 && newCol < SIZE && board[newRow][newCol] && !visited[newRow][newCol]) {
                return findDistance(newRow, newCol, dstRow, dstCol, visited, count+1);
            }
        }

        return count;
    }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9191

 

코딩테스트 연습 - 순위

5 [[4, 3], [4, 2], [3, 2], [1, 2], [2, 5]] 2

programmers.co.kr

안녕하세요, 이륙사입니다.

 

오늘 프로그래머스에서 순위라는 문제를 풀어봤는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제 힘으로 풀진 못하고 다른 분들 풀이를 찾아봤는데, 대부분 플로이드 와샬을 사용해서 푸셨더라구요. 그런데 왜 꼭 그래야 하는지가 명쾌하게 나와있지 않아서 좀 답답했습니다. 그러던 중 DFS만을 사용해서 푸신 분이 계셔서 해당 풀이를 공부하고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정리

  1. 문제를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선수(노드), 경기(엣지) 승패(엣지 방향)
  2. 이길 수 있는 선수 + 지는 선수의 합이 n-1인 선수는 순위가 확정된 것이다.
  3. 각 선수마다 누구에게 이기고 지는지를 모두 확인한다. 즉, (a > b), (b > c) -> (a > c) 처럼 건너 관계까지 모두 확인한다. --> DFS를 사용한다
  4. a > b를 확인할 때, 반대로 b < a 라는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즉, 각 선수마다 이기는 정보에 대한 DFS 탐색을 진행하면 지는 관계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다. --> 그러므로 각 선수를 시작노드로 각각 DFS를 진행한다

풀이

두 선수가 이기고 지는 관계를 그래프의 노드, 엣지, 엣지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3]. [3, 2]

엣지 방향을 어떻게 하든 상관 없지만 저는 노드에서 나가는 방향이 이기는 것, 들어오는 방향이 지는 것으로 표현했습니다. 대회에서 이기면 경기를 더 치룰 수 있지만 지면 짐싸서 집으로 돌아와야 하기 때문이죠. 물론 문제에선 그렇지 않지만요!ㅋㅋ

그래프

근데 왜 그래프로 생각해야 할까요? '그냥 그렇게 하는게 자연스러우니까, 당연하니까, 문제 분류가 그래프니까'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름의 이유를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단순 리스트로 표현하면 [1, 3], [3, 2]가 됩니다. 그리고 이 정보만으론 순위를 판별할 수 없습니다. 그냥 '1 > 3, 3 > 2 이니까 당연히 1  > 2고, 1 > 3 > 2가 되지'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이것이 그래프적으로 사고한 겁니다. (1 -> 3), (3 -> 2)의 과정을 거친것이죠. 단순 배열처럼 생각한다면 그 너머에 있는 관계까지 파악하는 것이 힘듭니다.

키 포인트

그리고 이것이 문제의 핵심 키포인트입니다. 건너건너 연결된 관계까지 모두 확인해야만 경기 결과 속에 숨어있는 모든 순위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DFS가 사용됩니다.내가 이기는 상대가 이기는 상대가 이기는... 을 모두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순위 확정 판별 조건

순위가 확정됐음은 어떻게 판별할 수 있을까요? 우선 모든 관계를 파악합니다. 그리고 n명의 선수들이 있을 때, 특정 선수가 이기는 선수 + 지는 선수 = (n-1)명이라면, 그 선수는 순위가 확정됐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에서는, 한 node에서 들어오거나 나가는 edge의 수가 n-1인 node를 의미합니다 (건너건너 포함).

// 순위를 알 수 있는 선수의 수를 센다
for (i in 1..n){
    if (edgeCount[i] == n-1) answer++
}

 

예를 들어, 1번이 3번을 이기고, 3번이 2번에게 이기면 3번의 입장만 고려했을 때, 3명 중 2명과의 관계를 알고 있으므로 순위가 확정된 것입니다.

DFS

DFS를 사용하여 각 선수마다 내가 이길 수 있는 모든 선수와 내가 지는 모든 선수를 알아냅니다. 그리고 몇 명인지만 알면 되기 때문에 문제는 더 간단해집니다.

 

각 노드를 시작 노드로 해서 이길 수 있는 모든 선수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반대로 지는 선수는 그 시작 노드에게 진다는 체크를 해줍니다. 즉, 이기는 노드들에 대한 방문만을 통해 지는 정보까지 모두 알 수 있게 됩니다.

 

/*
    * src: 이기는 선수 current: 지는 선수, loser: current에게 지는 선수
    * src가 이길 수 있는 모든 선수를 DFS로 확인한다.
    * 이 과정에서 반대로 current들은 src에게 진다는 정보도 알 수 있다.
    */
    private fun countEdgesOf(src: Int, current: Int) {
        for (loser in winList[current]) {
            if (visited[src][loser]) continue
            
            visited[src][loser] = true
            
            // 관계가 n-1개인지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 이기고 지는 경우 상관없이 관계 개수를 카운팅한다.
            count[src]++   // src가 loser를 이긴다
            count[loser]++ // loser는 src에게 진다
            countEdgesOf(src, loser) // 건너 관계를 확인한다.
        }
    }

 

위의 예를 다시 가져와 보겠습니다. [1, 3], [3, 2]가 입력으로 들어오고, 1에 대해 DFS를 시작합니다.

depth1) 1 -> 3

- 1이 3을 이긴다. (edgeCount[1]++;)

- 3이 1한테 진다. (edgeCount[3]++;)

 

1에서 3을 방문할 때 1에 대한 정보만이 아닌 3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엣지의 개수만 센다는 것에 주목해주세요. 실제로 필요한건 관계의 개수이기 때문입니다.

depth2) (1 ->) 3 -> 2

앞에 (1 ->)가 있습니다. 1에서부터 시작했다는 의미입니다.

1이 2를 이긴다. (edgeCount[1]++;)

2가 1한테 진다. (edgeCount[2]++;)

정답

이것을 모든 노드에 대해 실행한 후, edgeCount[i] == n-1인 개수를 세면 그것이 답이 됩니다.

 

코드

class Solution {
    private lateinit var edgeCount: IntArray // 들어오거나 나가는 edge 개수
    private lateinit var visited: Array<BooleanArray> // visited[src][dst]
    private lateinit var winList: Array<MutableList<Int>> // [node]가 이긴 선수들
    
    fun solution(n: Int, results: Array<IntArray>): Int {
        var answer = 0
        edgeCount = IntArray(n+1)
        visited = Array(n+1){
            BooleanArray(n+1)
        }
        winList = Array(n+1) {
            mutableListOf<Int>()
        }
        
        results.forEach {
            val winner = it[0]
            val loser = it[1]
            
            winList[winner].add(loser)
        }
        
        // 모든 관계를 확인한다
        for (i in 1..n) {
            countEdgesOf(i, i)
        }
        
        // 순위를 알 수 있는 선수를 센다
        for (i in 1..n){
        	if (edgeCount[i] == n-1) answer++
        }
        
        return answer
    }
    
    /*
    * src: 이기는 선수 current: 지는 선수, loser: current에게 지는 선수
    * src가 이길 수 있는 모든 선수를 DFS로 확인한다.
    * 이 과정에서 반대로 current들은 src에게 진다는 정보도 알 수 있다.
    */
    private fun countEdgesOf(src: Int, current: Int) {
        for (loser in winList[current]) {
            if (visited[src][loser]) continue
            
            visited[src][loser] = true
            
            // 관계가 n-1개인지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 이기고 지는 경우 상관없이 관계 개수를 카운팅한다.
            edgeCount[src]++   // src가 loser를 이긴다
            edgeCount[loser]++ // loser는 src에게 진다
            countEdgesOf(src, loser) // 건너 관계를 확인한다.
        }
    }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1303

 

코딩테스트 연습 - 표 편집

8 2 ["D 2","C","U 3","C","D 4","C","U 2","Z","Z"] "OOOOXOOO" 8 2 ["D 2","C","U 3","C","D 4","C","U 2","Z","Z","U 1","C"] "OOXOXOOO"

programmers.co.kr

 

풀이1

처음에 스택을 활용한 커서 구현 방법배열에 삭제 여부를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해서 정확도는 통과할 수 있었지만, 효율성 테스트에서 문제가 있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삭제된 행을 복구할 때 O(N)이 소요됨에 따라 명령어 * 전체 행 = 약 2000억 번의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커서를 움직이는 숫자의 합은 100만 이하라고 주어졌기 때문에,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여야 효율성 테스트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리스트를 사용하면 O(1)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연결 리스트

 

그림과 같이 연결리스트를 사용해서 삭제한 행을 스택에 저장하면, 삭제 과정이 연결리스트의 삽입과 같아진다.

그리고 항상 최근에 삭제된 행부터 복구하기 때문에, 삭제가 된 이후의 커서 이동이나 삭제는 신경쓰지 않고 이전 상태 그대로 복구할 수 있다. 단, 삭제하거나 복구할 때 양 끝의 행인지만 주의하면 된다!

 

풀이 2

삭제/복구 동작을 유심히 살펴보면 재밌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는데, 행을 삭제하더라도 cursor의 인덱스는 같다는 것이다.

 

ex)

0-1-2-3-4, cursor: 3, size: 5 

----삭제----

0-1-2-4, cursor: 3(4를 가리킴), size: 4, stack: 3

 

즉, cursor의 인덱스와 행의 개수만으로 차트를 표현할 수 있다. 단, 마지막 행을 삭제했을 때는 cursor -= 1을 해주어야 하는데, 이것도 실제 삭제 동작과 같다.

 

ex)

0-1-2-3-4, cursor: 4, size: 5

----삭제----

0-1-2-3, cursor: 4 - 1 = 3, size: 5, stack: 4

 

복구할 때는 행의 개수를 다시 증가시키고, 만약 현재 cursor의 인덱스가 복구하려는 행의 인덱스보다 크거나 같으면 cursor += 1을 해준다. 왜냐면 아래로 밀어야 하기 때문이다.

 

ex)

0-1-2-4, cursor: 3 (4를 가리킴), size: 4, stack: 3

----복구----

0-1-2-3-4, cursor: 3 + 1 = 4, size: 5

 

 

이런 풀이도 있다 정도로 알면 좋을 것 같습니다.

코드2를 참고해주세요!

 

코드1 (연결 리스트 사용)

import java.util.*

// 행 넘버, 위에 행, 아래 행, 삭제 여부
data class Row(val number: Int, var prev: Row? = null, var next: Row? = null, var state: Char = 'O')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Int, k: Int, cmd: Array<String>): String {
        val rowArray = Array<Row>(n) { i -> Row(i) }
        for (i in 0 until n-1) { // 앞으로 연결
            rowArray[i].next = rowArray[i+1]
        }
        for (i in 1 until n){    // 뒤로 연결
            rowArray[i].prev = rowArray[i-1]
        }

        var cursor = rowArray[k]
        val removeStack = Stack<Row>()

        cmd.forEach {
            when (it[0]) {
                'U' -> { 
                    val prevStep = it.split(" ")[1].toInt()
                    repeat(prevStep) {
                        cursor = cursor.prev!!
                    }
                }

                'D' -> {
                    val nextStep = it.split(" ")[1].toInt()
                    repeat(nextStep) {
                        cursor = cursor.next!!
                    }
                }

                'C' -> {
                    val removeRow = cursor
                    val prevRow = cursor.prev
                    val nextRow = cursor.next
                    removeStack.push(removeRow)
                    removeRow.state = 'X' // 삭제 표시

                    if (nextRow == null) { // 삭제될 행이 마지막 행인 경우
                        cursor = prevRow!!
                        prevRow.next = null
                    }else{
                        cursor = nextRow
                        nextRow.prev = prevRow

                        // 첫번째 행을 삭제하는 경우를 고려하지 않으면 NullPointerexception 발생
                        if (prevRow != null) prevRow.next = nextRow
                    }
                }

                else -> {
                    val removedRow = removeStack.pop()
                    val prevRow = removedRow.prev
                    val nextRow = removedRow.next
                    removedRow.state = 'O'

                    if (nextRow == null){ // 마지막 행이었던 경우
                        prevRow!!.next = removedRow
                    }else{
                        nextRow.prev = removedRow

                        if (prevRow != null) prevRow.next = removedRow
                    }
                }
            }
        }

        // 배열에 저장하지 않고 head, tail을 사용해서
        // 스택에 남아있는 행들을 다시 삽입한 후
        // head부터 순서대로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val answer = StringBuilder()
        rowArray.forEach {
            answer.append(it.state)
        }

        return answer.toString()
    }
}

 

코드2 (cursor랑 size로 차트 표현)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fun solution(n: Int, k: Int, cmd: Array<String>): String {
        var cursor = k
        var size = n
        val removeStack = Stack<Int>()

        cmd.forEach {
            when (it[0]) {
                'U' -> {
                    val step = it.split(" ")[1].toInt()
                    cursor -= step
                }
                'D' -> {
                    val step = it.split(" ")[1].toInt()
                    cursor += step
                }
                'C' -> {
                    removeStack.push(cursor)
                    size -= 1
                    if (cursor == size) cursor--
                }
                else -> {
                    val comebackRow = removeStack.pop()
                    size += 1
                    if (comebackRow <= cursor) cursor++
                }
            }
        }

        val answer = StringBuilder()
        for (i in 0 until size) answer.append('O') // 살아있는 행 먼저 표시
        
        while (removeStack.isNotEmpty()) {
            val removedRow = removeStack.pop()     // 연결리스트의 삽입과 같다
            answer.insert(removedRow, 'X')
        }

        return answer.toString()
    }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8

 

코딩테스트 연습 - 오픈채팅방

오픈채팅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을 개설한 사람을 위해, 다양한 사람들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지켜볼 수 있는 관리자창을 만들기로 했다. 채팅방에 누군가 들어오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서 누군가 나가면 다음 메시지가 출력된다.

 

"[닉네임]님이 나갔습니다."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이다.

  • 채팅방을 나간 후, 새로운 닉네임으로 다시 들어간다.
  • 채팅방에서 닉네임을 변경한다.

닉네임을 변경할 때는 기존에 채팅방에 출력되어 있던 메시지의 닉네임도 전부 변경된다.

예를 들어, 채팅방에 "Muzi"와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순서대로 들어오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출력된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있던 사람이 나가면 채팅방에는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남는다.

 

"Muzi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Muzi님이 나갔습니다."

 

Muzi가 나간후 다시 들어올 때, Prodo 라는 닉네임으로 들어올 경우 기존에 채팅방에 남아있던 Muzi도 Prodo로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은 중복 닉네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현재 채팅방에는 Prodo라는 닉네임을 사용하는 사람이 두 명이 있다. 이제, 채팅방에 두 번째로 들어왔던 Prodo가 Ryan으로 닉네임을 변경하면 채팅방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record는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담긴 배열이며,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이다.
  • 다음은 record에 담긴 문자열에 대한 설명이다.
    • 모든 유저는 [유저 아이디]로 구분한다.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으로 채팅방에 입장 - "Enter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Enter uid1234 Muzi")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퇴장 - "Leave [유저 아이디]" (ex. "Leave uid1234")
    • [유저 아이디] 사용자가 닉네임을 [닉네임]으로 변경 - "Change [유저 아이디] [닉네임]" (ex. "Change uid1234 Muzi")
    • 첫 단어는 Enter, Leave, Change 중 하나이다.
    • 각 단어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 숫자로만 이루어져있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은 알파벳 대문자, 소문자를 구별한다.
    • 유저 아이디와 닉네임의 길이는 1 이상 10 이하이다.
    • 채팅방에서 나간 유저가 닉네임을 변경하는 등 잘못 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는다.

입출력 예

record result
["Enter uid1234 Muzi", "Enter uid4567 Prodo","Leave uid1234","Enter uid1234 Prodo","Change uid4567 Ryan"]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Ryan님이 들어왔습니다.", "Prodo님이 나갔습니다.", "Prodo님이 들어왔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설명과 같다.

 

풀이

한 오픈채팅방에 있는 유저들에 대한 record 배열을 가지고, 유저들의 입장/퇴장에 대한 문자열을 배열에 담아 반환하는 문제다.

record에는 유저들의 입장/퇴장/닉네임 변경에 대한 정보가 주어진다.

문자열 형식은 "[닉네임]님이 [입장or퇴장]하셨습니다." 이고, 해당 유저가 마지막으로 바꾼 닉네임으로 출력해야 한다.

 

그러므로 유저의 최종 닉네임을 알아야 하는데, 유저가 닉네임을 바꿀 수 있는 경우는 2가지이다.

1. 오픈채팅방 안에서 바꾼 경우

2. 오픈채팅방에서 퇴장한 다음 닉네임을 변경해서 재입장 하는 경우

 

따라서, 우선 record를 한번 순회해서 유저들의 닉네임 변경만을 확인해서 최종 닉네임을 저장한다. 그리고 다시 record를 순회하며 입장/퇴장에 대한 문장을 최종 닉네임과 함께 배열에 담아서 반환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코드1

내 머리에서 나온 코드

class Solution {
    fun solution(record: Array<String>): Array<String> {
        val answer = mutableListOf<String>()
        val userNickname = mutableMapOf<String, String>()

	// 1차 순회 - 닉네임 변경 확인
        record.forEach{
            it.split(" ").let{ line ->
                if (line[0] == "Enter" || line[0] == "Change"){ userNickname[line[1]] = line[2] }
            }
        }

	// 2차 순회 - 최종 반환할 배열
        record.forEach{
            it.split(" ").let{ line ->
                when(line[0]){
                    "Enter" -> answer.add("${userNickname[line[1]]}님이 들어왔습니다.")
                    "Leave" -> answer.add("${userNickname[line[1]]}님이 나갔습니다.")
                    else -> {}
                }
            }
        }

        return answer.toTypedArray()
    }
}

 

코드2

프로그래머스에서 좋아요3개로 가장 많은 좋아요가 있던 코드를 참고한 것인데, 메소드 체이닝 형식으로 되어 있다. 

class Solution {
    fun solution(record: Array<String>): Array<String> {
        val userNickname = mutableMapOf<String, String>()

        return record
            .map {
                it.split(" ").let { line ->
                    val action = line[0]
                    if (action == "Enter" || action == "Change") {
                        userNickname[line[1]] = line[2]
                    }
                    line
                }
            }
            .asSequence()
            .filter { it[0] != "Change" }
            .map {
                val nickname = userNickname[it[1]]
                val explanation: String = when (it[0]) {
                    "Enter" -> "님이 들어왔습니다."
                    "Leave" -> "님이 나갔습니다."
                    else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
                }
                "$nickname$explanation"
            }
            .toList().toTypedArray()
    }
}

리뷰

레벨2였지만 문제에서 하라는대로 하면 됐기 때문에 [키패드 누르기]와 체감 난이도는 비슷했다. 오히려 코드는 짧았다

.

함수형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풀 순 없을까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 풀이에 딱 원하던 게 있었다. 그리고 읽으면서 내가 let문을 좀 남발하는구나 싶었던게, 람다문 안에서 let을 쓰니 중괄호가 늘어서 가독성이 떨어져보였다. 람다문 안에서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let같은 애들은 자제하는 게 좋을 것 같다.

 

Sequence라는 문법이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다음에 한번 정리해 봐야겠다.   

+ Recent posts